학술논문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이해 및 효과성
이용수 0
- 영문명
-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CRESST Focused on the Algebra Domain in the 8th Grad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승현 황혜정 류현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2권 제2호, 193~2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 연방정부 교육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고 있는 평가ㆍ기준ㆍ검사 전문연구센터인 CRESST (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at UCLA)에서는 지속적인 형성평가 실시에 따른 결과 반영을 통하여 교사의 수업 개선과 학생의 내용 숙달을 지원하고, 투입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5년 일정(2007년~2011년)의 장기적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2007년과 2008년의 사전 연구를 토대로, 2009년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PowerSource©를 투입하여 대수 영역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 PowerSource©를 투입하여 대수 영역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CRESST의 PowerSource©의 이해 및 이의 활용을 토대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수 영역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영문 초록
CRESST(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at UCLA) is now carrying out the research, which was scheduled for a five year period from 2007 to 2011. This research aimed at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by continuously conducting the program on the target group and steadily applying the recurring feedback, in order to reform the teachers' teaching and to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To do this, CRESST has set out to develop the material for 7th graders since January 2007, and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have been running a collaborated research since July 2007, while shar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veloped by CRESST. In 2008, the pre-test was conducted prior to this study in 2009. Especi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Korean 8th graders' scholastic achievements in algebra domain measured by PowerSource©.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response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its appli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PowerSourceⓒ 프로그램의 이해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대수 영역의 PowerSourceⓒ 실행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각 문항의 사전사후 응답 변화
〈부록 2〉 평가 간 동형 문항의 예 (유리수 동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