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춤과 음악의 간극
이용수 2
- 영문명
- Discrepancies between Dance and Music: the Minuet at the court of Louis XIV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정경영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0권 제3호,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루이 14세 시대의 미뉴엣의 춤과 음악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그 간극은 1) 춤 동작 단위와 음악의 단위가 동시에 시작하고 끝나지 않는 데에서, 2) 몸의 동작이 만들어내는 액센트와 음악의 액센트가 일치하지 않는 데에서, 3) 전체 동작의 길이와 음악의 길이가 같지 않다는 데에서 생겨난다. 그러나 이러한 간극은 춤과 음악이 만날 때 우연히 생겨나는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의 의미를 발생시키는 본원적이고 필수적인 것임이 드러난다.
영문 초록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dance and music in the minuet of the court of Louis XIV. First, the beginning and ending of dance does not coincide with musical beginning and ending. Second, accents created by dance movement is not concordant with musical accent. Third and the last, the length of musical phrase is not matched to the dance's. These discrepancies, however, are not an accidental but the essential and necessary aspects of the minuet (or of the court dance), since those help to formulate the meaning of the dance-music.
목차
시작하는 말
1. ‘공연’으로서의 궁정 춤
2. 파 드 미뉴엣 (Pas de Menuet)과 동선(floor pattern)
3. 춤과 음악의 간극
끝맺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