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흐의 토카타 관련 오르간작품들에 대한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organ toccatas of Bach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나진규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9권 제2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are four organ toccatas of Bach: BWV 538(d), 540(F), 564(C), 565(d). In the old Bach-Gesamtausgabe(BG), BWV 566(E) was called also “Toccata”, but in the New Bach-Ausgabe(NBA) the title is replaced by “Praeludium et Fuga”, corresponding to the authoritative sources. The four organ toccatas are different in the designation. BWV 538 und 540 are entitled “Toccata et Fuga” in BG and NBA, while BWV 564 is entitled simply “Toccata”, although this work has an independent big fugue. In comparison with this piece, BWV 565, which is called in BG “Toccata”, is entitled “Toccata con Fuga” in NBA. The word ‘Toccata con Fuga’ seems to mean a form between ‘Toccata’ and ‘Toccata et Fuga’. And when one compares ‘Toccata’ or ‘Toccata con Fuga’ with ‘Toccata et Fuga’, he can find out some structural differences. The both works, BWV 564 and 565, are strongly influenced either by the italian concert type, of which A. Vivaldi was representative, or the toccata type of the north-german school, of which D. Buxthehude was representative. In contrast to that the other works, BWV 538 and 540, follow formally the type of Bach himself, namely ‘Praeludium et Fuga’. So they are consisted of a toccata of motivating and imitating character and a fugue of strict contrapuntal character.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바흐의 토카타 관련 오르간작품들 전반에 관하여
Ⅲ. 토카타 관련 작품들에 사용된 기법적 특징들
Ⅳ. 끝내면서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세기 후반 서구 음악학계의 실증주의 연구 사례
- 영화의 사운드로서의 음악
- Music as World/Music Half Heard:The The 'Cocktail-Party Effect' between Opera and Cinema
- 20세기 음악과 회화에서의 푸가
- 바흐의 토카타 관련 오르간작품들에 대한 연구
- Selected practical difficulties in film scoring
- 미국 음악학회 연례 모임 참관기
- 한국서양음악학회 제38차 학술포럼 『리게티 음악의 경계들』 보고문
- “바흐와 모차르트의 시대” 컨퍼런스 참관기
- 20세기 음악문헌에 나타난 새로운 플루트 연주기법에 관한 연구 II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