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19세기 공공 음악회의 발전 과정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History of Public Concerts in London, Paris and Vienn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이경희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8권 제1호, 241~2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7세기 말 이전에는 음악 연주를 주 목적으로 하는 독립적이고 공식적인 무대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음악 활동들은 많은 다른 제도와 사교 장소- 궁정, 선술집, 교회, 시장, 가정 -에 일시적으로 첨가된 것이었다. 그러나 오페라, 공공 음악회, 음악 협회와 같은 제도의 발생은 음악 생활의 사회적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음악계는 그 자신만의 목적, 예절, 사회적 조직을 갖춘 세계로 발전되었다. 오페라가 가장 빠르게 발전하였다. 18세기 초에 이르면 이미 유럽 전역에 큰 규모의 공식적인 단체들이 존재했다. 반면에 공공 음악회는 산발적으로 자라났다. 17세기 말 런던과 18세기 초 파리에서 소수로 시작되었다. 1750년 이후 까지 그 숫자는 미미했다. 음악회 제도와 관습이 안정적으로 확립되는 것은 19세기에 들어와서이다. 그러나 전용 음악회장이 아닌 장소에서 음악회가 빈번히 열렸기에 다른 사회 활동과의 연관은 여전히 지속되었다. 청중들도 이들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교와 오락 차원의 매너로 행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베버(William Weber)는 음악회의 발전시기를 다섯 단계로 나누고 있다. 첫째 시기 1680-1750년대는 음악회가 드물게 출현하던 시기, 둘째 시기 1750-1790년대는 런던, 파리, 비엔나에서 성장하는 시기, 셋째 시기는 1790-1813년대 휴지기, 넷째 시기 1813-1848년은 빈도와 중요성에서 급격한 폭발을 보이던 시기, 다섯째 시기 1848-1870년은 음악회가 현대식으로 공고화된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둘째와 넷째 시기를 중심으로 공공 음악회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공공 음악회 제도가 완전히 정착하게 되는 넷째 시기 동안 대중 음악회와 고전 음악회로 나뉘어서 서로 다른 체제와 청중이 생겨나게 된 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
영문 초록
The history of concerts in London, Paris and Vienna falls into five periods: 1) 1680-1750, the scattered appearance of concerts; 2) 1750-1790, the growth of frequent events in all three cities; 3)1790-1813, a hiatus in presentations; 4) 1813-1848, the rapid explosion in their number and significance; and 5)1848-1870, the consolidation of the concert world in its modern form. The author makes a focus on the second and fourth periods. During 1830s and 1840s, the public concerts were exploded and final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worlds. The popular and classical concert worlds have their own system and publics. But after mid-19th century, they were merged again. The upper-middle clas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concerts. The history of public concert shows how much the specific social bases of different kinds of concert molded their character. For example, the distinctive tastes and life-style of the Viennese bureaucrats defined the nature of the classical music world even more than the members of the liberal professions did in London or Paris. In contrast, the economic profession had influence on the popular music world more than liberal professions and bureaucrats. The development of classical-music concerts in three cities also showed how important public musical occasions were in the growing social leadership of the upper-middle class. Even in a city like Vienna where private interaction between the elites was so limited, events in public halls provided a means by which the class could oblige the aristocracy to accept a measure of social equality with it.
목차
1. 18세기
2. 19세기
3. 대중 음악회
4. 고전 음악회
나가는 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멘트, 혹은 슬픔의 형식
- 2004년 서양음악학 학술대회 보고문
- 마랭 마레 알씨온의 기악 어법에 관한 연구
- 음악 이해의 여러 유형에 대한 원론적 고찰
- 이내선의 논문 ‘6도음정’의 선법적, 조성적 기능 (2)
- 유토피아에 대한 낭만적인 그리움
- 18-19세기 공공 음악회의 발전 과정
- 개념을 적용하는 대상과 범위에 관한 논의
- 힌데미트의 피아노푸가
- “6도음정”의 선법적, 조성적 기능(2)
- 딸림7화음과 반감7화음들 간의 화성적 변형
- 몬테베르디의 『리코리, 아민타와 사랑에 빠져 미친 척하는 여인』
- 한독음악학회 주최 독일교수 초청 세미나 시리즈
- 제1회 RILM 학술대회 참관기
- 현대 퓨그 구성을 위한 새로운 방법
- 바그너 음악극의 라이트모티브기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