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하임 악파 교향곡에 수용된 클라리넷
이용수 0
- 영문명
- About the Background and the First Fruition of Clarinet, Accepted in the Mannheim School Symphony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윤현주 나주리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24권 제2호, 11~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클라리넷이 만하임 악파에 의해 교향곡에 처음으로 수용된 바는 음악사 서술이 늘 짚고 넘어가는 중요한 사실이지만, 그 클라리넷 수용의 배경과 결실에 대해 묻고 답해보려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그 시도를 행하고자 클라리넷의 탄생 및 발전과정을 살피고, 교향곡에처음으로 클라리넷을 들여놓은 요한 슈타미츠의 작품들을 들여다본다. ≪6개의 교향곡 ‘독일의노래’≫(6 Symphonies ‘La Melodia Germanica’) op. 11의 제1, 3번 교향곡의 첫 악장의 이 논문의 탐구 및 분석 대상이다. 논문은 요한 슈타미츠가 구조, 언어, 음향, 표현, 양식적으로 지극히‘현재적인’ 오케스트라 음악과 지극히 ‘미래적인’ 오케스트라 음악에서 클라리넷을 지극히 ‘현재적인 악기’로, 또 지극히 ‘미래적인 악기’로 기능케 했다는 결론에 이른다. 논문은 그것이 슈타미츠가 훌륭하게 성장한 그 ‘젊은’ 악기의 가능성과 성질을 간파하고 과감하게 실험한 결과라는 점도역설한다.
영문 초록
Acceptance of clarinet in the symphony by Mannheim School is a significant fact that has been constantly clarified by music historical descrip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ttempt to ask and answer about the background and also consequence of accepting clarinet. This study looks into the history of the clarinet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and works of Johann Stamitz who first brought clarinet in the symphony. The first movement of ‘La Melodia Germanica’ Op. 11, No. 1 and No. 3 are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nd analysis. This study comes to a conclusion that Johann Stamitz made clarinet function as both ‘modern instrument’ and ‘futuristic instrument’ in the ‘modern’ symphony and ‘futuristic’ symphony by way of structure, language, sound, expression, and musical style.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those facts above are the result of what Stamitz detected and experimented resolutely the possibility and quality of the ‘new born’ instrumen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샬뤼모에서 클라리넷으로
3. 요한 슈타미츠 교향곡에 수용된 클라리넷, 그 기능과 효과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