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프만의 “잊혀진” 오페라 《운디네》 및 그의 오페라 미학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rgotten” Opera Unidine by Hoffmann and His Opera Aesthetics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김용환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7권 제3호, 117~177쪽, 전체 6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10,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호프만(E. T. A. Hoffmann)의 《운디네》는 그의 가장 대표적인 음악작품으로서 당대에대성공을 거두었지만, 지금은 거의 잊혀진 오페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운디네》의양식적인 주요 특징을 고찰하여 그 음악사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이에 연관하여 호프만이 여러 비평문을 통해 발표한 오페라에 관한 관점을 조망함으로써 국내 학계에 통용되고 있는 기악음악(교향곡)에 방점을 둔 호프만 음악미학을 수정·보완하는 시도를 하였다.
영문 초록
The romantic opera Undine by E. T. A. Hoffmann is his most representative musical workand was a great success at that time even though it has almost been forgotten. This paper reviews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Undine by studying main features of the opera. Also, by surveying Hoffmann's view of opera according to various criticisms, I tried to readjust the current view ofHoffmann’s musical aesthetics which had an emphasis only on instrumental music (symphony) in Korea.
목차
1. 머리말
2. 낭만 오페라 《운디네》
3. 호프만의 오페라 미학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