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계이론에서의 음악
이용수 0
- 영문명
- Music in the systems theory: The meaning of music and its social interpretation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우혜언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14권 제1호, 11~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이론을 음악에 적용한 페터 푹스(Peter Fuchs)의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에 체계이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또한 체계이론에서 파악한 음악의 의미와 그 사회학적 해석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푹스는 음악의 의미를 분명, 한슬릭의 미학적 사고와 유사하게, 음악의 자기생산적 체계에서 찾고 있다. 푹스에 따르면 본질적으로 자기지시적인 음악은 구체적인 의미, 즉 타자지시를 가질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이 사회체계에 존재할 때 음악을 둘러싼 다양한 의미 부여와 해석들이 생겨나는 현상을 찾아볼 수 있다. 그 의미들은 체계이론에서 음악의 사회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었고, 이러한 현상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체계이론의음악학 적용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rveys the Niklas Luhmann's systems theory and attempts to explain Peter Fuchs' theses about music and systems theory. Music is a social system and has the 'autopoetic' operation, which means 'self(auto)-creation' or 'self-reproduction'. However according to Fuchs, the music is not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the Luhmann's theory. Because the music is always fundamentally 'self-referential' and does not have a signifié. The meaning of music in the Fuchs' thesis can be discussed in context of Hanslick's aesthetics. In view of system theory this paper will distinguish the meaning of music from its social interpretation.
목차
1. 들어가면서
2.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
3. 음악과 체계이론
4. 음악의 사회적 의미
5. 나가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