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school selection criteria for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신형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2권 1호, 261~2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 on selection criteria of digital textbook and to develop practical school selection criteria. A survey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gain insight into how teachers view the digital textbook selection process and assess their requirements on evaluation criteria of digital textbook usag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limited to those with at least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at least one textbook selection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ere a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requirements assessment and research review was used to set up ideal 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at a digital textbook selection checklist should include items that can evaluate content level appropriateness and various applications of technology. It was also found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develop discriminative selection criteria, reflecting their own school backgrounds to get reliable selection resul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ors should consider the content of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 of a prospective digital textbook when evaluating the materia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어 디지털교과서의 학교 선정 기준 개발
- AI 챗봇 활용 수업이 초등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 관련 사례 연구
- 매일 영어 그림책 읽기 수업을 통한 초등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효과 및 어휘 활용 양상
- A Comparison of Linguistic Aspects in English Reading Passages of 2012-2023 CSAT Mock Tests Between Grading Systems and Between June and September Tests
-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탐색
- 말하기 과업별 한국인 성인의 영어 말하기 능숙도와 분석적 채점 영역의 관계
- 영어교과교육 22권 1호 목차
- 내용중심 영어 교수 학습의 도구로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탐색
-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 영어교육의 효과
- 온라인 토익 수업에서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모둠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발음 지식의 변화 및 향상에 관한 연구
-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분석
- 중학교 영어 교과서 협동학습 활동 유형 분석과 학습자 인식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의 학사 혁신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수도권 대학 학사 업무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 중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진로상담 역량: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