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 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KSAT for Assessing Statistical Literacy b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AT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무(Lee Jeong-Moo) 유진수(You, Jin Su) 이정아(Lee, Jeong Ah) 이경화(Kyeong-Hwa Lee)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6권 3호, 527~5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강조하는 통계적 소양이 통계 교육의 목표로 주목 받고 있다.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해서는 평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우리나라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PISA 평가틀(OECD, 2013)을 이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통계 문항이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지,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입학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의 평가와 측정을 반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미국의 대학입학시험인 SAT의 통계 문항과 비교 또한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과 SAT 모두 다양한 유형의 맥락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수능에 출제된 통계 문항들은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있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AT에 출제된 통계 문항에는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를 포함하여 통계적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문항들이 있다. 이 문항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통계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적합한 통계적 소양 평가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statistical literacy is explicitly addressed as a goal and specific objectives are included. However, statistical literacy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studies on KSAT.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on how to improve KSAT in a sense that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evaluated instead of testing typical facts or skills by comparing KSAT with SAT. We us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ategory of context of PISA framework (OECD, 2013) to administer the comparison of KSAT and SAT. Result shows that both KSAT and SAT use various context, but items in KSAT is limited in assessing critical understanding. We suggested several ways to develop context-based items for KSAT in which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assess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비례/반비례, 상관관계의 도입 시기 및 내용 조직에 대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비교
-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와 실천 사례
- 교사들의 수업 분석 관점에 대한 연구 -삼각형의 무게중심에 대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활동 이론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탐색하기
- 현직교사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의 연계를 통한 산파법 관점에서의 모의수업 실행 사례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 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교수ㆍ학습에서 고등학생들의 범교과적 인성요소에 대한 인식변화
-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한 학생을 대상으로 -
- 문제 해결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분석
- 수학학습장애 연구 동향 메타분석
- 변화율 관점에서 농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
-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의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