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통계교육 개선 방안 탐색: 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50
- 영문명
- Exploring Way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atistics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cusing on Statistical Graph Teach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탁병주(Tak, Byungjoo) 고은성(Ko, Eun-Su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0권 4호, 675~7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통계 그래프 지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지, 둘째, 초등학교 수학에서 경험하는그래프와는 어떤 차별화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의 88.2% 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던 것이었으며, 사용 빈도는 혼합형 그래프를 제외하면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비율그래프, 그림그래프 순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계 그래프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된 정형화된 틀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경험하는그래프와 차별화된 특징에는 그래프별로 상이했다. 예를 들어, 막대그래프의 경우, 축의 생략, 막대의 변형, 다중변수의 표현 등이 있었으며, 꺾은선그래프의 경우에는 다중변수의 표현, 정확한 변량의 표기 등이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ways that statistical graphs teach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improved, first, the types of statistical graphs that appear in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examined, a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d these from statistical graphs that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ere investigated.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88.2% of the graphs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addresse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frequency of use (excluding mixed graphs) was in the order of bar graphs, line graphs, ratio graphs, and picture graphs. However, most of the statistical graphs did not follow the standardized framework suggest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s they were instea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The features that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mathematics graphs from graphs experienc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differed for each type of graph. For example, in the case of bar graphs, there were the omission of axes, deformation of bars, and expression of multiple variables, while in the case of line graphs, there were expressions of multiple variables and accurate representations of variabl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적 추론 연구의 동향 분석
- 예비 초등 교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평가 연구 동향 분석
- 초등학교 6학년의 근/원 일반화 문제 해결 과정 분석을 통한 대수적 일반화 가능성 탐구
- 변화율을 이용한 추론․해석 과제에서 드러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 대수 알고리즘의 상세화에 의한 천천히 배우는 중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
- 비 개념이 다른 두 중학생의 이차함수에 대한 양화 과정
- 연속체의 역사적, 수학적 분석 - 연속체의 구성과 무한분할을 중심으로-
-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통계교육 개선 방안 탐색: 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 덧셈을 이용한 가분수와 대분수의 도입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