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Health on Late-Life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Gender and Spousal Health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어윤경(Erica Yoon Kyung Auh)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35권, 4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강이 노인의 노동시장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과 배우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국의 2002년 건강-은퇴 연구(Health and Retirement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노동시장참여를 종속변수로 삼고 삼방향상호작용항(객관적 건강상태, 성별, 결혼유무가 반영된 배우자의 건강상태)을 포함한 로지스틱 회귀분석(n=11,004)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건강이 좋지 않으면 노동시장참여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건강상태가 악화될 경우, 결혼한 남성은 미혼 남성에 비해 노동시장참여의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남성의 건강이 매우 좋지 않은 경우에는 결혼유무나 배우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남성의 노동시장참여 가능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의 건강이 매우 악화되었을 경우에는 남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가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노동시장참여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와 본 연구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by gender and spousal health. Using the U.S. data from the 2002 Health and Retirement Study (n=11,004),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the dependent variable of work for pay. Variables in the model include an objective measure of health, two-way health interaction terms, three-way interaction terms of health, marital status with spousal health and gender, along with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indicated that, in general, poor health was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Considering significant two-way and three-way interaction terms, findings implied that for any education level, married men were more likely to leave the labor force than single men when their health got poor, while the opposite was true for women. When men were in very poor health, neither the marital status nor the wife's health seemed to distinguish the likelihood of working amongst men; whereas, when women were in very poor health,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husband's health. The possible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