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 한국의 구조적 폭력 경험과 기독교교육의 변형적 접근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Transformativ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for Unmaking of Violence in the Experiences of Moder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손문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49집, 245~27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대 한국의 구조적 폭력 경험을 기독교교육의 변형적 관점에 접근한다. 연구자는 세 가지 역사적 사건 속에서 일제강점기(1910-1945년) 근대 한국이 경험한 구조적 폭력의 실상을 조명한다. 첫째는 1895년 10월 8일 일본의 낭인들에게 살해당한 명성황후의 비극적 시해사건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한국인의 독립의지를 대내외에표출한 1919년 삼일독립운동에서 발견되는 일제의 폭력적 탄압이고, 셋째는 제2차세계대전 당시 일제가 일본군 위안부로 조직적으로 동원한 일본군성노예 피해자들의 폭력적 경험이다. 연구자는 기독교교육과폭력에 관한 역사교육이 서로 무관한 것이 아니라, 상호유기적 연결의관점에서 접근하고, 이와 같은 교육적 성찰이 기독교교육이 지향하는변형의 실존적 차원에서 폭력과 억압을 해체함으로 인간 상호간의 평등성과 관계성 향상을 통해 하나님의 심상 속에서 인격 성숙의 가치를지향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dern Korea and her structural violence with the historical approach and then to suggest the transformative perspective of religious education as the unmaking function of violence. The Koreans started their modernity, resisting the violent occupation of the Japanese ruling (1910-1945). The author explores her structural violence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ree historical memories: the terribl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1851-1895) who was the last queen of Korea, the March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and the comfort women who were Japan’s wartime sex slavery during the Pacific War. In this study, the author focuses on Gilligan’s psychological approach to violence. She regards the images of violence or aggression as “a problem in communication and an absence of knowledge about human relationships.” If her such point would be recognized, conversely the author could assume that the enhancement or progress in the relationship might be related to the unmaking or ceasing of violence. Furthermore, as the educational strategy to unmake or cease the successive chain of violence and aggression, the author suggests the transformative environment in religious education where the class members are able to enhance their mutuality and equality in the image of God for the perfection of human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Tragic Death of Empress Myeongseong (1851-1895), the Last Queen of Korea
Ⅲ.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Ⅳ. The Comfort Women: Japan’s Wartime Sex Slaves during the Pacific War
Ⅴ. Educational Wisdom to Unmake Violence or Oppression and Religious Transformat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