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Study on Hazard Identification for a Mountain Railway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진유 박찬우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11~2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에서는 산악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겨울철 폭설과 결빙에 의한 통행 제한으로 겪는 생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악철도시스템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 중인 산악철도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고, 톱니바퀴형 산악철도와 트램의 과거 사고사례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철도에서 정의하고 있는 위험요인 등을 고려하여 산악철도시스템에 적합한 위험요인들을 식별하였다. 산악철도 운행 시 예상 가능한 사고를 충돌사고, 탈선사고, 화재사고, 사상사고, 건널목/경합구간 사고의 5가지 사고로 분류하였고 각 사고별로 위험사건과 위험요인을 식별하였다. 그리고 각 위험요인별로 세부위험요인을 식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된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들은 향후 산악철도시스템의 예비위험도 분석과 안전관리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Korea, a mountain railway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sidents living in the mountain areas due to the restriction of traffic by heavy snow and ice in winter. In this study, the hazard identification which is customized to the developing mountain railway system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ing system, past accident cases of the mountain trains of the rack&pinion type and trams in the world, and risk factors defined in the ordinary railway system. Predictable accidents during mountain railway oper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accidents: collision, derailment, fire, casualty, and crossing/competitive section accidents. Hazardous events and hazards were derived for each accident. Moreover, specific hazards were derived for each hazard. The hazards of the mountain railway system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liminary hazard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mountain railway systems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개발 중인 산악철도시스템의 특징
3.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