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n the research paradigms and the grounded theory in qualit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tourism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태린(Kim, Taelyn)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8호, 15~3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관광 분야에서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나, 많은 질적연구 사례에서 연구 패러다임 적용 등의 오류가 범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관광 분야 질적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패러다임을 설명하고, 특히 질적연구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근거이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접근하는 태도이자 단계로서 연구 패러다임과 연구방법, 자료원 등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후 연구 패러다임의 유형으로 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 비판이론, 구성주의 각각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방법론적 가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근거이론의 개념과 진화 과정을 설명하고, 전통적 근거이론, 진화된 근거이론,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등 각 근거이론의 유형별 연구 패러다임, 연구방법, 연구 사례, 비판과 신뢰도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광 분야 질적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 대한 비판과 논의를 통해 향후 관광 분야 질적연구에 대한 고찰과 발전이 지속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tourism has increased, errors in applying th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y are still common.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i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commonly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s various research paradigms, such as positivism, post-positivism, critical theory, and constructivism, as well as their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assumptions.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its evolution are discussed. Furthermore, the research paradigm, research method, research cases, as well as criticisms and credibility for various types of grounded theory, are discussed. Finally, recommendations for encouraging appropriate qualitative research are provid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park lively debates about th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studies in touris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패러다임
	                       
	                          Ⅲ. 근거이론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7호 목차
 - 주민 주도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CBT) 형성 및 성공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정선군 고한읍 마을호텔 18번가를 중심으로
 - 관광목적지에서 원주민과 이주민의 관계적 폭력성 연구: host-guest 프레임워크의 폐기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