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our Intention by Mortality Salience: An Application of Terror Management Theory to Tourism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곽재현 홍경완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1권 제9호, 205~2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포관리이론을 관광학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행의도와 세계관 방어 간의 죽음현저성 영향을 조사하고, 죽음현저성과 종속변수 사이에 여행욕구와 자존감의 조절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간단한 설문에 응하는 것으로 죽음현저성에 대한 비초점 방어의 실험을 설계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먼저, 죽음현저성 조작은 개인을 더 큰 여행욕구와 여행의도로 이끌었고, 자존감 역시 죽음현저성과 여행의도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현저성의 조작은 참가자들이 국내/외 여행에 기꺼이 더 많은 여행 경비를 지불하는 것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죽음현저성 집단의 해외여행 선호는 통제 집단에 비해 압도적이었으며 경비 지불 의사에서도 20%에 가까운 WTP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가 직면하는 가장 미묘한 자극조차도 우리의 소비행동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MT(terror managemen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ortality salience on travel intention and world-view defense. It was also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vel intention and self-esteem as related to mortality salience and its dependent variables. This experiment on mortality salience and control was conducted using distal defense treatments to answer a series of research questions. A control group was also used for comparison. The results showed were as follows: 1) Mortality sa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ravel intention.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ortality salience had a higher instant trave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3) The control group with high self-esteem showed higher trave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low self-esteem. 4) Participants in the mortality salience condition were willing to spend more money on overseas travel.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aving a mortality-related image led participants to spend more on overseas travel, but not domestic travel.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onsumer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랜차이즈 본부의 통제가 가맹점의 정서적 몰입 및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죽음현저성에 따른 여행의도
 - 관광 유통 분석과 예측을 위한 5C 모형
 - 확장된 기대충족모형을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비콘(beacon)의 지속적 사용의도
 - 레스토랑 관련 국가이미지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이끄는가?
 -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산업 종사원의 조직침묵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서비스감정 노동자의 자기방어 기제에 대한 고찰
 - 한류문화콘텐츠에 대한 몰입 및 감정적 태도가 한국 의료관광의 신뢰 및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기업 종사원의 대인매력이 고객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의 호텔 선택속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7호 목차
 - 주민 주도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CBT) 형성 및 성공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정선군 고한읍 마을호텔 18번가를 중심으로
 - 관광목적지에서 원주민과 이주민의 관계적 폭력성 연구: host-guest 프레임워크의 폐기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