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술 기록의 활용을 위한 패싯 기반 주제명표목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ing Facet-based Subject Headings of Oral History Records Use: Using Oral History Records of Knit Business in Haebangchon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해인(Haein Kim) 정연경(Yeon-Kyoung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2권 제4호,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방촌 니트 사업을 주제로 수집된 구술 기록의 주제 접근을 위해 패싯을 기반으로 한 주제명표목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문헌 연구에서 구술 기록과 그 내용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구술 내용에 대한 패싯과 주제명표목의 적용 의미를 살펴보았다. 둘째, 구술의 서사적 측면을 반영한 육하원칙을 토대로 구술 기록에 대한 기본 패싯을 설정하였다. 셋째, 해방촌 니트 사업의 종사자와 관계자 7인과 면담자 1인의 구술 면담을 통해 수집된 녹취록을 대상으로 용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540개의 주제어를 선정하고 패싯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싯으로 구분한 주제어를 주제명표목의 표목으로 활용하여 관계어와 함께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구술 기록의 내용에 대한 주제적 접근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s a methodology for facet-based subject headings for the subject access to oral history records collected by such a project of the knit business in Haebangchon.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ral history records and their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aning of facets and subject headings applied to such content was examined in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basic facets of oral history records were created based on 5W1H that reflected the narrative feature of oral history. Third, 540 subject-related terms were selec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transcript written based on oral history interviews with one interviewer and seven interviewees linked to the knit business in Haebangchon. Fourth and last, subject headings were proposed with the selected subject-related terms categorized in facets with various relationships. These facet-based subject headings will improve the subject access and use of oral history records.
목차
1. 서론
2. 구술 기록과 패싯 기반의 주제명표목
3. 기본 패싯 설정과 주제어 수집
4. 패싯 기반 주제명표목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기록보존 연구동향 분석
- 국가기록포털 검색서비스 품질 점검을 위한 평가셋 구축 및 현황 분석
- 공공기관 유튜브 동영상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핵심 요소 연구
- 기록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의 상호보완적 고도화 방안 연구
- 기록관리 분야에서 한국어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 신행정수도건설기록물 관리 사례 연구
- 근현대기록물의 보존 현황과 방안
- 구술 기록의 활용을 위한 패싯 기반 주제명표목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목차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디지털화 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 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