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펭톡’과 영어 원어민의 초등학생 영어 발음평가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19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I Pengtalk’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assessment of elementary students’ English pronunci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애 이지영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1권 4호, 67~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the A.I. Pengtalk’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assessment of Korean-speaking children’s English pronunciation. For this, 60 sixth-graders participated as assessees and four English native speakers as assessors. The students enunciated 10 English sentences, repeating after Pengtalk, and their speech was recorded. Pengtalk assessed the students’ pronunciation in a three-point scale for overall accuracy and a five-point scale for accuracy of four phonological elements. The native English-speaking assessors listened to and rated the students’ recordings using the rubric offered in Pengtalk. The assessmen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ngtalk tended to rate the students’ overall pronunciation accuracy and their accuracy in the four elements, and across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ative assessors. Second, Pengtalk and the native assessors differed in the accuracy order of the four elements. Third, variations in the accuracy order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levels were greater in Pengtalk than among native assessors. Fourth, Pengtalk’s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ometimes failed to distinguish English fricatives from stops. Fifth, Pengtalk’s overall pronunciation assessment of a sentence sometimes disconformed with its assessment of the four element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for developing and using AI chatbot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펭톡’과 영어 원어민의 초등학생 영어 발음평가에 관한 비교연구
- Critical Linguistic Measurements of EFL Oral Proficiency by Korean Adults in Dialogic and Monologic Tasks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 교육 전공 강의의 만족도 탐색
- Affinities of Text Types to Typical Spoken and Written Registers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디지털 소양’의 의미에 대한 고찰
- The Effect of the Self-questioning Strategy on English Learning for Korean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