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울진 보암광상 일대 중력 이상
이용수 34
- 영문명
- Gravity Anomaly around Boam Deposit, Uljin: Implications on Economic Geology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오일환 허철호 신영홍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5권 5호, 521~52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상북도 울진 보암광상 일대에서 리튬 페그마타이트와 관련된 화성암체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중력탐사를 실시하고, 주변 지질 및 광체와의 공간적 관계를 연구하였다. 중력탐사 결과 보암광상 주변은 상대적으로 낮은 중력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보암광상은 남서-북동 방향으로 길게 분포하는 화성암체(분천화강편마암)와 남동쪽의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 동서 방향의 장군 석회암층 및 동수곡층 퇴적암과 만나서 이루는 남서-북동 방향의 중력이상 경계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남서-북동 방향의 서쪽 경계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기는 하지만, 이외에도 광상 주변으로 동쪽과 남쪽 경계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중력이상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도 주변으로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화성암체가 분포하고 있을 수 있다. 중력탐사를 통해 추정되는 잠두 화성암체의 분포 특성은 추후 리튬 페그마타이트의 분포와 규모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Gravity explor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igneous complex related to lithium pegmatite in the Boam deposit of Uljin, Gyeongsangbuk-do, and the spatial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geology and ore bodies were studied. The gravity exploration result shows that the Boam deposit area i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low gravity anomaly that surrounds the deposit. The Boam deposit is located near the southwest-northeast directional boundary of gravity anomalies where igneous complex (granite gneiss) contacts with the Yuli and Wonnam groups in the southeast, Janggun limestone layers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Dongsugok metasedimentary rocks. While the western boundary in the southwest-northeast direction is relatively clear, there may also be unknown igneous complex that are not exposed on the surface at the eastern and southern boundaries because a relatively low gravity anomaly surrounds the deposi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hidden igneous complex will be used as useful data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thium pegmatite in the future.
목차
1. 서언
2. 지질 및 광상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매장 문화재 공간 분포 결정을 위한 지하투과레이더 영상 분석 자동화 기법 탐색
- 달성광산 산성광산배수 침전물의 시간에 따른 광물상 특성 변화 및 이에 따른 미량원소의 거동 변화
- 화강암 파쇄시 풍화정도가 골재 입도분포 및 미석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탈기법과 초음파 처리법을 연계한 LPG 지하공동저장소 주변 오염지하수 내 TOC 제거
- 영주댐 유역 토일천 유입 유기물 및 하천 퇴적물에 대한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특성 연구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내부에 사용한 석회 및 점토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조달체계 검토
- 중앙해령 및 섭입대 화산호 지역 해저열수광상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고찰
- 천연기념물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낙석 발생원인
- 침식저항도 차이에 따른 지형발달 및 지형인자에 대한 연구
- 충주 앙성지역 탄산천의 수위/수질 변동과 주변 지질 특성
- 울진 보암광상 일대 중력 이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