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앙해령 및 섭입대 화산호 지역 해저열수광상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고찰
이용수 50
- 영문명
- A Review on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loor Massive Sulfide Deposits in Mid-Ocean Ridge and Volcanic Arc Settings: Water-Rock Interaction and Magmatic Contributio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최선기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5권 5호, 465~47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저열수광상(seafloor massive sulfide deposit, SMS)은 다량의 유용금속을 포함하는 중요한 광물 자원으로서 그 성인적 특성 및 금속 함량 변화는 주로 모암과 마그마로부터 금속과 황을 공급하는 물-암석 상호작용과 마그마성 휘발 성분의 용리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금속 공급원들은 지구조환경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해저열수광화작용에 대한 이들의 기여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본 논평에서는 중앙해령 및 화산호 지역 SMS 광상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서로 다른 금속 공급원의 영향을 파악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성인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황비동석 및 큐바나이트, 방연석, 중정석의 산출은 각각 마그마 영향과 물-암석 상호작용의 기여를 반영하여 금속 공급원 특성 차이에 의한 해저열수광상의 유형 구분을 가능케 한다. 또한, 황철석의 Co, As, Hg 거동 특성 및 섬아연석의 철 함량 변화는 지구조환경에 따른 금속 공급원의 영향을 반영하는 효율적인 경험적 지표가 될 수 있다. 현재까지 연구는 주로 열수 침전에 의한 광체에만 국한되었기 때문에 해저열수광상의 성인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그마 기원 황화광물과 황산염광물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수적이다.
영문 초록
The seafloor massive sulfide deposits are important mineral resources for base and precious metals, and their ore genesis and metal contents are mainly controlled by wall-rock leaching process and/or magmatic volatile input from the underlying magma chamber. However, the contribution of two different metal sources to the seafloor hydrothermal mineralization significantly varies in diverse geological settings and thus still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review,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MS deposits from mid-ocean ridges (MORs) and volcanic arc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 from different metal sources and to suggest future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s a result, the genetic occurrences of enargite and cubanite, galena and barite indicate the effects of magmatic input and water-rock interaction, respectively. Also, the distributional behaviors of Co, As, and Hg in pyrite and FeS content of sphalerite could be useful empirical indicators to discriminate the significant roles of different metal sources between MOR and Arc settings. To date, a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sulfide samples recovered from the seabed, further studies on magmatic sulfides and sulfate minerals are required to fully understand the genetic history of SMS deposits.
목차
1. 서론
2. 지구조별 해저열수시스템 특성
3. 해저열수광상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비교
4. 결론 및 제언
사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매장 문화재 공간 분포 결정을 위한 지하투과레이더 영상 분석 자동화 기법 탐색
- 달성광산 산성광산배수 침전물의 시간에 따른 광물상 특성 변화 및 이에 따른 미량원소의 거동 변화
- 화강암 파쇄시 풍화정도가 골재 입도분포 및 미석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탈기법과 초음파 처리법을 연계한 LPG 지하공동저장소 주변 오염지하수 내 TOC 제거
- 영주댐 유역 토일천 유입 유기물 및 하천 퇴적물에 대한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특성 연구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내부에 사용한 석회 및 점토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조달체계 검토
- 중앙해령 및 섭입대 화산호 지역 해저열수광상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고찰
- 천연기념물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낙석 발생원인
- 침식저항도 차이에 따른 지형발달 및 지형인자에 대한 연구
- 충주 앙성지역 탄산천의 수위/수질 변동과 주변 지질 특성
- 울진 보암광상 일대 중력 이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