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설의 현상학과 엘리엇: 『네 사중주』를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Husserl’s Philosophy and Eliot: Eliot’s Four Quartets.”
발행기관
한국T.S.엘리엇학회
저자명
이철희
간행물 정보
『T. S. 엘리엇연구』제24권 제3호, 77~9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후설의 현상학에서의 핵심은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즉, 의식 속 대상을 어떻게 배열하고 정확하게 규명하는가에 그 초점이 있다. 이는 엘리엇의 작품 창작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엘리엇은 화자의 의식 속 대상의 배열을 작품 창작의 중요한 방법으로 삼고 있다. 그래서 다소 후설의 철학과 마찬가지로 난해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의식과 대상과의 관계를 후설은 하일레와 노에시스 그리고 노에마로 설명하고 있다. 엘리엇 또한 그의 작품에서 이러한 관계가 적절하게 성립되어 완벽한 구조를 보이는가하면 또한 이 관계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간혹 보인다. 이것은 바로 의식 속 대상이 표현되는 과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후설이 본질직관을 위한 방법으로 판단 중지를 주장하고 있는바 엘리엇 또한 이를 자신의 시에서 그대로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Husserl’s philosophical keyword is “consciousness.” His major concerning is how to express the objects in consciousness. It is similar to the way the poet creates his poems. Eliot also depends on speaker’s consciousness to create his poems. Eliot’s creative method is mainly to express the objects in speaker’s consciousness in an effective way. But what is important is that a speaker should recognize what the object is and speak it accurately although it is in his consciousness. Husserl calls this logic “evidence”, classifying hyle, noesis and noema to explain speaker’s conscious process. We can see this process in Eliot’s poems. For Eliot, these processes go forward properly, but sometimes don’t do so. Husserl calls a complete “constitution” when these three processes go well. On the other hand, Husserl demands Epoche’ for us to get to an essential intuition. Eliot also uses it in his poem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후설의 현상학과 엘리엇
3. 의식 속 대상의 변형과정: 하일레와 노에시스 그리고 노에마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희. (2014).후설의 현상학과 엘리엇: 『네 사중주』를 중심으로. T. S. 엘리엇연구, 24 (3), 77-98

MLA

이철희. "후설의 현상학과 엘리엇: 『네 사중주』를 중심으로." T. S. 엘리엇연구, 24.3(2014): 77-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