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 S. 엘리엇과 초현실주의

이용수  9

영문명
“T. S. Eliot and Surrealism.”
발행기관
한국T.S.엘리엇학회
저자명
김성현
간행물 정보
『T. S. 엘리엇연구』제24권 제3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현실주의는 사회문화적으로 가장 파급효과가 상당했던 운동으로 여겨지는 것 만큼 수없이 많은 작가, 예술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준 운동이다. 엘리엇의 대표작인 『황무지』는 그것이 집필되었던 시기를 고려해보면, 어느 정도 초현실주의라는 사회문화적인 영향관계의 자장 속에 있었던 것을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다. 사실, 초현실주의는 당시 유행하고 있는 프로이트의 이론과 저항적 미학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프로이트와 초현실주의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발생초기 초현실주의는 많은 부분 프로이트의 이론에 힘입은 바가 크다. 최초 초현실주의는 앙드레 브르통에 의해 1924년 공식적으로 천명되었는데, 엘리엇의 『황무지』는 초현실주의가 잉태되던 시점과 비슷한 연대기적 과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1차 세계대전 이후로서, 이 시기 초현실주의자들과 비슷하게 엘리엇 역시 서구 문명의 위선적인 한계에 환멸을 느끼고 문명사회의 이면에 존재하는 공허를 자신의 작품 속에서 표현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런 만큼, 엘리엇의 대표작 『황무지』에는 여러 가지 초현실주의적인 요소들이 깊이 각인되어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Surrealism must have influenced myriads of authors, artists and musicians as it was commonly expected as one of the most socio-culturally influential movement ever. However, it is seldom noted that T. S. Eliot may have close connection with Surrealism. Surrealism was originally an artistic movement that was conducted mainly by the works of artists and poets. Even though surrealism had been mainly regarded as the name tag for those who chiefly worked on paintings, it was originally initiated by a group of poets such as Louis Aragon, Paul Eluard, Guillaume Apollinaire, André Breton, Stéphane Mallarmé, Arthur Rimbaud, and Charles Baudelaire. Considering the culture atmosphere of the time when it was written, The Waste Land, in this respect, may possibly be read as the outcome of surrealistic influence upon T. S. Eliot. As a matter of fact, it must be a mixture of Freudian theory and the aesthetic spirit of rebellion against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Even though there was unbridgeable gap between surrealism and Freudian theory, they resonate with each other in their burgeoning period. The surrealist movement was first publicly announced in 1924 by André Breton in his famous “Surrealist Manifesto.” The nascent period was overlapped with that of The Waste Land. That is to say, the formation of surrealism had already begun after the world war I, which gave Eliot the sense of horror and emptiness and got him disillusioned from the hypocritical western civilization which found the elemental frame of The Waste Land.

목차

1. 서론
2. 엘리엇과 초현실주의
3. 『황무지』와 초현실주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현. (2014).T. S. 엘리엇과 초현실주의. T. S. 엘리엇연구, 24 (3), 1-32

MLA

김성현. "T. S. 엘리엇과 초현실주의." T. S. 엘리엇연구, 24.3(2014):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