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Word Choice Errors in EFL Writing at the Tertiary Level: The Impact of L1 and Cultural Background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Word Choice Errors in EFL Writing at the Tertiary Level: The Impact of L1 and Cultural Background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윤상미(Yun, Claudia Sangmi)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0권 3호, 165~1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categorize common word choice errors in Korean EFL writing and help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word choice patterns. This study reassures that both L1 and its background cultures affect language learners’ choice of vocabulary in English learning. Korean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low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carry out a writing log, a collection of nine pieces of weekly assignments of paragraph writing during the semester. They were allowed to use any type of automatic translation such as Google Translate or Papago for revision and editing. The errors that the students produced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ignificant findings were obtained regarding lexical errors caused by literal translation, cultural differences, and L1 word order.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target languages. They can give ideas for teachers to instruct EFL writing strategies on students’ word choice errors.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OLOGY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언, 사투리,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사용 양상 비교 연구
- 사회언어학 발달 과정과 역사사회언어학 개념 정립을 위한 시도
- 사용역에 따른 비윤리적 표현의 분포와 사용 양상 연구
- 간판 언어에 대한 언어 정책적 연구
- 외국인 학부생의 학업 수행 한국어 능력 진단 평가 기초 연구
- 2015 개정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형식과 활동 유형
- 사회언어학 제30권 3호 목차
- A Study on Word Choice Errors in EFL Writing at the Tertiary Level: The Impact of L1 and Cultural Background
- 한국에서 일본어 ‘오마카세(お任せ)’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일고찰
- 언어, 언어 사용, 정신 작동 방식
-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영어 교사 교육
- The Korean Coronavirus Corpus: A Large-Scale Analysis Using Computational Skil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