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HP Analysis of Cross-Cultural Experiences by Italian Expats Working for Korean Organizations
이용수 12
- 영문명
- 한국기관에 근무하는 재한 이태리인들의 조직문화 경험에 대한 AHP 분석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저자명
- Martina Pizzinato 김정호(Kim, Jung-Ho)
- 간행물 정보
- 『아태연구』제27권 제4호, 127~16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면서 한국기관에 근무하는 이탈리아인들의 이문화 경험을 살펴보았다. 한국인과 이탈리아인 사이의 문화적 차이가 식별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 의사결정 과정, 리더십 스타일, 조직환경의 차이와 유사성에 주안점을 두고 이것이 이탈리아인들의 근무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주한 이탈리아인의 수가 늘어나고 이탈리아와 한국 사이의 무역관계도 깊어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문화 관리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는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의사결정 과정, 리더십 스타일, 조직환경 등의 어떠한 세부사항들이 중요한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인과 이탈리아인은 ‘의사결정과정’과 ‘리더십 스타일’에서는 유사한 반면, 서로 다른 의사소통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가 한국기관에 근무하는 이탈리아인들의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문화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한 본고의 연구결과를 통해 이탈리아인과 한국인이 서로를 보다 잘 이해하고, 두 나라 사이의 사업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cross-cultural experiences of Italian professionals living in Korea and working for Korean organizations. Aimed at understanding wheth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 Italians can be found and how these influence the experience of Italian expats, it analyzes the dimensions of Decision-making Process, Leadership Style, and Team Environment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Italians living in Korea and the highly relevant trade partnership between Italy and Korea, this research wants to fill in the current gap in the cross-cultural management literature between such countries and individuals.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hich transforms intangible judgments into consistent and tangible data, responses from the surveyed experts were ranked to see which criteria and sub-criteria are more important to Italian expats. After comparing the current literature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HP analysis, similarities in the studied dimensions were found. In particular, Italians have shown similar collectivistic and hierarchical values to Koreans at work. Nevertheless, an important variance in communication style has been discovered and linked to the average-low satisfaction levels among Italian expat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depicting s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per wants to help both Italians and Koreans at better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therefore, at maximizing the outcomes of their businesses. Moreover, it wants to be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cross-cultural management between Italians and Korea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Data Analysis
Ⅴ. Analysis of Results
Ⅵ.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중 무역분쟁이 해당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conomic Nationalism and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The Development of Korea’s Automobile Industry under the Park Chung Hee Regime
- 일본의 북극정책
-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과 주식시장 수익률
- AHP Analysis of Cross-Cultural Experiences by Italian Expats Working for Korean Organizations
- 과학기술 ODA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미-중 갈등과 동남아시아
- 중국의 산업-도시 융합 문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Contents
- Is Modernization of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A Boon or A Bane for The Filipino People?
- Toward a Framework for IT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