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중 무역분쟁이 해당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

영문명
The Effect of US-China Trade War on the US and Chinese Stock Market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정진호(Jinho Jeong) Siqi Chen 이지선(Geesun Lee)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7권 제4호, 5~2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중 무역분쟁이 해당국의 주식시장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주가지수 자료를 이용하여 무역분쟁 전후 변동성 군집현상, 비대칭적 변동성 등을 시간-가변 변동성 모형인 EGARCH, TGARCH 모형을 통해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중 각 주식시장에서 변동성 군집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무역분쟁 이후 그 강도는 미국 시장에서 증가한 반면 중국 시장에서 감소하여 미국 시장이 중국 시장 대비 충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음을 나타냈다. 둘째, 무역분쟁 이후 미국 시장의 변동성 지속성은 감소한 반면 중국 시장에서는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무역분쟁 이후 중국 주식시장의 비대칭 변동성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무역분쟁 이전 존재한 비대칭 변동성의 정도 또한 미국 시장 대비 약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 시장에서는 위기 시 주가 하락에 따른 부채비율 상승 및 위험프리미엄 상승에 투자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무역분쟁 이후 중국 주식시장에서 역의 비대칭 변동성이 약하지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무역분쟁 이후 중국 시장에서 악재보다는 호재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투기성향이 증가될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무역분쟁과 같은 시장 혼란 발생 시 정부의 적극적 개입은 시장 안정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선진 주식시장과 다르게 중국시장의 투자자들은 모멘텀전략보다는 역행투자전략을 추종하는 투자행태가 효과적일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US-China trade war impacts on its stock markets. Using 20 years of daily return series of S&P 500 and SSE Composite Indices from 2000 and 2019, we investigate volatility clustering, asymmetric volatility under EGARCH and TGARCH models that effectively captures the time-varying volatility in the pre- and the post-trade war era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volatility clustering is significant during the pre-trade war period for both the US and Chinese stock markets. However, the level of clustering was increased in the US and decreased in China during the post-trade war period, implying that the US stock market responded more sensitive relative to Chinese stock market. Second, the volatility persistence in US was decreased while it was increased in China during the US-China trade war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US Federal Reserve’s active stabilization policies help quickly absorb the trade war shock. Third, the presence of asymmetric volatility in the pre-trade war period was identified both in the US and Chinese stock markets. However, the degree of asymmetry in China is lower than that of US. More importantly, in China, asymmetric volatility is not significant in the post-trade war period, suggesting the insensitive responses of Chinese investors to debt ratio and risk premium increase during the market turmoil. Finally, the possibility of adverse asymmetric volatility in Chinese stock market is discovered during the trade war period, suggesting that Chinese investors respond more sensitively to good news than bad news. Overall, the government’s active engagement seems to be effective for market stabilization during the market turbulence in US. In addition, we found the possibility of speculative investment increase in China because of adverse asymmetric volatility in Chinese stock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호(Jinho Jeong),Siqi Chen,이지선(Geesun Lee) . (2020).미-중 무역분쟁이 해당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태연구, 27 (4), 5-27

MLA

정진호(Jinho Jeong),Siqi Chen,이지선(Geesun Lee) . "미-중 무역분쟁이 해당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태연구, 27.4(2020): 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