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munication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the case of psychiatric wards and emergency room nurse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오은정(Eun Jung, Oh)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6권 제3호, 103~11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investigative design to explore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psychiatric wards and emergency room.
Method : A survey was conducted on 190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and emergency room located in J, K and I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educational need of communication, we analyzed data through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the Borich needs assessment.
Results : The averag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of nurses in psychiatric wards and emergency room was 3.60±0.36 out of 5, and the average communication ability was 3.47±0.31 out of 5. A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IPA and Borich needs assessment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of communication in the categories of Goal settings, and ‘Actively delivers own thoughts using body language and intonations’.
Conclusion : This is needed to develop on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strengthen ‘Actively delivers own thoughts using body language and intonations’ communication for nurses in psychiatric wards and emergency room. Our study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to design a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nurses in psychiatric wards and emergency room to meet the educational of commun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년여성의 폐경기 중재연구와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시뮬레이션 기반 고위험 신생아 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관점으로 바라본 국내 간호학연구 동향분석
-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역량기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