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신부의 산부인과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
- 영문명
- Effect on Pregnant Women Choice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윤정(Yu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4 No.1, 67~7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울산 일 여성병원 출산 후 입원 산모 및 퇴원 후 산후조리원 이용 중인 산모 1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분석하였다. 병원의 선택에 있어서 영향을 미친 사람은 본인(44.9%), 친구(16.2%) 순이었다. 산부인과 병원을 선택함에 있어 결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임산부 교육프로그램(20.8%)과 온라인 추천(18.8%)이었다. 부서별 직원 만족도 평균은 의사가 4.51±.52로 가장 높았다. 병원 이용 후 주위 추천은 병동간호사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p<.036)한 차이가 있었다. 병원 이용 후 재방문은 의사(p<.05)와 분만실 간호사(p<.027)로 나타났다. 임산부의 산부인과 병원 선택은 체계적인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과 의사, 분만실 간호사, 병동 간호사로 나타났으며 산부인과 병원의 활성화를 위해 이들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과 체계적은 관리가 필효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104 people after a survey of postpartum care centers after being used after admission mother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 of Ulsan in one study. Crazy people affected in the choice of your hospital (44.9%), friends (16.2 percent). In choosing a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 was a decisive impact factors mad maternal education programs (20.8%) and online recommendation (18.8%). Departmental staff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verage physician to 4.51 ± .52. Recommended use around after a hospital ward with nurses showed 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36). After the hospital visit were re-used by physicians (p <.05) and delivery room nurses (p <.027). The choic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 pregnant women showed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nd decision-pregnant, maternity nurses, ward nurses, intensive and systematic training is for those for activation of the maternity hospital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manag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론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