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 여성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local women civil serva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성홍(Sung-Hong Kim) 석경휴(Kyung-Hyu Seok)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5 No.1, 45~5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결과 중,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조직지원 및 직무성과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성과 수준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력일 높을수록, 천주교, 유배우자, 근무기간이 길수록, 현 부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수준이 유의하게 높거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연령과 근무기간이 길수록 급여와 직급이 높고 높은 직위에 있는 공무원일수록 직장에 대한 책임감이나 사명감이 높아 업무의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업무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여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due to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performance level was analyzed as follows: As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ge increases, the higher the job level of education, Catholic, oil spouse, the longer the tour, the longer the current department tour, the higher the rank, the higher the salary level job performanc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 or rising trend. This is thought to be higher than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the work of professional and business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in the workplace increases for the more high-ranking officials age and longer working hours and high salaries rank higher job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내용 및 논의
4. 분석 결과 및 해석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정보 분야 대학 졸업생들에 대한 산업체의 직무수행능력 및 교육과정 요구에 관한 연구
- 수중운동이 혈중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전공기초학습프로그램이 전문대학 신입생의 학습역량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의료정보관리자의 역할과 준비방안
- 사무직 근로자의 주간졸음,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미용경락과 석션기기를 이용한 관리가 하체둘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생에 적용한 플립드러닝의 효과 연구
- 지방 여성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학제연장에 따른 보건의료정보관련 학과의 효율적 운영방안 검토
- 후기 독거노인의 성별,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상태, 정신건강관련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