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무직 근로자의 주간졸음,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
- 영문명
- Daytime Sleepiness and Job Stress, two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for Office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안권숙(Kwon-Suk Ahn) 천석연(Seok-yeon Cheon)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5 No.1,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부 사무직 근로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간졸음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며 사무직에 근무하는 근로자 22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2015년 2월 2일부터 2월 27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간졸음과 직무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삶의 질과 주간졸음, 삶의 질과 직무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주관적 사회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수준, 교육수준, 주간졸음이 35.5 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의 추가로 50.8%의 설명력을 보여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근로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직장 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job stress, two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for office workers. Respectively, for daytime sleepiness.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job stress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daytime sleepiness and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respondents in general, ag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education level, and daytime sleepiness accounted for 35.5% and the addition of job stress to these factors accounted for 50.8%. This result has confirmed that job stress may strong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job stress at workplace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workers.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총괄 및 고안
5.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정보 분야 대학 졸업생들에 대한 산업체의 직무수행능력 및 교육과정 요구에 관한 연구
- 수중운동이 혈중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전공기초학습프로그램이 전문대학 신입생의 학습역량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의료정보관리자의 역할과 준비방안
- 사무직 근로자의 주간졸음,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미용경락과 석션기기를 이용한 관리가 하체둘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생에 적용한 플립드러닝의 효과 연구
- 지방 여성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학제연장에 따른 보건의료정보관련 학과의 효율적 운영방안 검토
- 후기 독거노인의 성별,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상태, 정신건강관련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