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걷기운동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0
- 영문명
-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Stress Reduction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이시경(Si-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7 No.2, 111~114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 본 연구는 걷기 운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속초시에 생활기반을 지역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30세부터 77세까지의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타액코티졸 검사는 검사에 동의한 40명 중 무작위로 남·여 총 10명을 선정하여 검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설문조사의 경우 걷기 운동 전에는 스트레스 대한 척도가 8.8에서 7.7로 감소되어 걷기 운동이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타액코티졸의 측정을 살펴보면 측정 전7.33에서 측정 이후 7.30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본 연구는 건강관리에서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걷기 운동이 인체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건강관리에 중재모형과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stress. The target of the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local residents in Sokcho, Gangwon Province, and 40 men and women aged 30 to 77, and the salaxony test was conducted randomly by selecting 10 men and women from among the 40 who agreed to the examination. Studies show that before walking exercise, the measure of stress decreased from 8.8 to 7.7, making walking exercise effective in reducing stress. The measurement of salicotisol showed a decrease from 7.33 before the measurement to 7.30 after the measure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s, which are readily available to anyone in health care, on reducing stress in the body and provides an intervention model and basic data for effective health car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전자의 안전의식, 음주행태와 사고발생율
-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대학생활에 미친 긍정적 효과
- 대학생이 인지하는 부모와의 정서적인 관계가 학습몰입도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이야기 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불안정 지지면 교각운동 시 발디딤 패턴이 성인의 다리와 체간 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생활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학령기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관용표현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입체그림과 의문사를 이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능적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 걷기운동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교원의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모형에 관한 인식 고찰
- 서로 다른 두 개의 경계 구조에 기초한 CMLCA를 이용한 컬러 영상의 단계적 암호화
-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생활보건이 필요한 생활습관과 식습관관리요구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