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습관 및 생리적 특성과 두피상태, 유·수분 및 각질의 상관관계
이용수 67
- 영문명
- Cor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calp Condition, Oil, Moisture and Keratin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손향미(Hyang-Mi Son) 박복남(Boc-Nam Park)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8 No.1, 73~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과 식습관, 생리적 특성에 따른 두피상태와 두피 유·수분 및 각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총 43명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식습관, 생리적 특성, 두피상태, 유·수분, 각질면적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분석 SPSS 23.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전후 평균비교, 표준편차,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두피 상태와 유·수분 및 생리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탈모 유전여부에 따라 모공상태( 비듬여부(r=-.351, p<.05)와 유분 정도가 상관관계(r=-.311,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장애 여부는 모공상태(r=-.330, p<.05)와 두피의 수분정도(r=-.489, p<.05)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calp condition, scalp oil, moisture, and kerati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a total of 43 subject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calp status, oil/moisture content, and keratin area.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was used to perform percentage, average, before and after average comparison, standard deviation, and χ2 ver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lp condition, oil, moistur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e status (dandruff status (r=-.351, p<.05) and the degree of oil content) correlated with the hair loss genetic status (r=-.311 , p<.05), whether sleep disord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re status (r=-.330, p<.05) and scalp moisture level (r=-.489, p<.05) It appeared to be related.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취업 청년과 알코올 사용장애와의 관련성
- 아동병원 외래 환아 보호자의 병원서비스 만족도
- Y대학 핵심역량진단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식습관 및 생리적 특성과 두피상태, 유·수분 및 각질의 상관관계
- Offline to Online 형 시니어 돌봄 시스템 구축
- 매트와 볼 운동이 척추세움근의 두께변화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걷기운동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 다기능 두피관리기기 사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피 및 생리적 상태변화 연구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인증관련 이수학점의 문제점 및 제안
- 효과적인 대학생 지도를 위한 코칭 활용 방안 연구
- 강원도 고성군 노인의 입원 다빈도 질환 추세변화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