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Y대학 핵심역량진단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of Y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박복남(Boc-Nam Park) 길효정(Hyo-Jung Gil) 안종일(Jong-il Ahn)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8 No.1, 29~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Y대학의 역량중심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재학생의 핵심역량직무능력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통한 문항을 도출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으로 91개의 예비 문항을 도출하였다. 재학생 56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Y대학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AMOS 18.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3개 역량, 9개 하부역량으로 구성된 78개 문항의 핵심역량진단 도구를 개발하게 되었다. Y 대학의 핵심역량진단 도구는 재학생의 역량을 진단하여 향후 교육정책 및 전공 및 교양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편성에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to evaluate the core competency level of current student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Y University. The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 advice. Content validity was also verified and 91 items were drawn. A survey was conducted on 562 college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18.0 program. As a result,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78 questions, consisting of 3 competencies and 9 sub-competencies, was developed. Y University's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will diagnose students' competencies and provide direction for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majors and liberal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본 론
3. 결 과
4. 결 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취업 청년과 알코올 사용장애와의 관련성
- 아동병원 외래 환아 보호자의 병원서비스 만족도
- Y대학 핵심역량진단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식습관 및 생리적 특성과 두피상태, 유·수분 및 각질의 상관관계
- Offline to Online 형 시니어 돌봄 시스템 구축
- 매트와 볼 운동이 척추세움근의 두께변화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걷기운동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 다기능 두피관리기기 사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피 및 생리적 상태변화 연구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인증관련 이수학점의 문제점 및 제안
- 효과적인 대학생 지도를 위한 코칭 활용 방안 연구
- 강원도 고성군 노인의 입원 다빈도 질환 추세변화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