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U 반덤핑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이용수 0
- 영문명
-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e of Anti-dumping Policy in EU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이갑수(Lee, Kab-So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6권 제3호, 269~29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EU의 공동체법 및 통상정책을 분석해 보면 궁극적 목표는 회원국의 공동이익을 보호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반덤핑조치는 상계관세 및 세이프가드와 더불어 자국산업을 방어하는 3대 정책수단이며 WTO도 이를 허용하고 있다. 그런데 EU는 다른 정책수단보다 반덤핑정책에 의존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어떤 다른 방어정책보다 반덤핑수단이 산업방어 측면에서 효과가 즉각 발휘되고 EU 입장을 최대한 대변할 수 있다는 데 있다. EU 반덤핑정책의 경우 보호주의 색채가 짙으며 특히 정치적 영향을 받고 있다. 조사개시가 쉽게 이루어지며 소위 ‘공동체이익’ 조항을 둠으로써 정치적 개입의 여지를 두고 있다. 또한 집단대응을 명시함으로써 ‘집단적보호주의’(collective protectionism)의 길을 열어두고 있다. 본 연구의 또 하나 중요한 결론은 EU 반덤핑정책이 역내 비교열위산업을 보호하는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EU 반덤핑 조치로 수입의 역내 전환효과가 크게 나타나는데, 그 효과로 인해 역내생산이 종전에 비해 증가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반덤핑정책은 EU가 포기할 수 없는 통상정책수단이 되고 있다.
영문 초록
Analyzing EU trade laws and institutional systems, the trade policy of EU has been founded, undoubtedly, on common interests for EU members. EU trade policy leaves room for 'Collective Protectionism' by permitting legal persona or interesting group to raise anti-dumping procedures. The anti-dumping policy of EU has shown a protectionism itself and has been affected by political motives. Investigation against anti-dumping can easily open and also there exists a wide range of political involvements. Furthermore, anti-dumping policy could be misused for protecting declining industries, which lost comparative advantage in global market. Economic theories show that anti-dumping measures divert import from outsider into insider members, which finally results in increasing intra-production of EU. This is exactly the reason why the anti-dumping policy has become attractive trade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EU 반덤핑정책의 경제이론과 배경
Ⅲ. EU 반덤핑정책의 실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베이징 도시가구의 주택담보대출 이용실태 분석
- 서비스경제로의 이행과 노동생산성 변화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 EU 반덤핑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 중국의 웹사이트 요소가 관계품질과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Williamson 가설검정에 의한 중국의 도시화와 경제성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의 문화적 특성 차이와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 환동해권 지역사회의 상호의존과 견제
- 한국 군 인트라넷 사용이 신세대 장병들의 군복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정책정향성과 다문화 수용성간의 영향 연구
- 한국과 중국 은행산업의 효율성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Predicting Recessions Using Yield Spread in Emerging Economies: Regime Switch vs. Probit Analysis
- 장내파생상품거래의 제도개선
- 한국기업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모형
- 재정분권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The Impacts of Entrepreneurships on Learning Competence and Export Performance of INVs: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 A Dualistic Development in Korean Industrializa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