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지역사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이용수 174
- 영문명
- How Does the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Benefit the Community?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김동훈(Dong-Hoon Kim) 심규원(Kyu-Won Sim) 권헌교(Heon-Gyo Kwon) 한상열(Sang-Yoel Han)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3권 제1호, 139~1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철저하게 지역사회 측면에서 멸종위기종 여우 복원사업이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이 복원사업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생물종다양성 증진과 국가생태축 회복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원사업 대상지 인근 지역주민들과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멸종위기종 보호 교육 및 홍보와 같은 전제 요건이 복원사업 목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적인 경로로는 복원사업의 전제 요건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역경제효과는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이 복원사업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이 단순히 생물학적인 복원의 의미를 넘어, 지역으로 유입되는 관광객 증가와 함께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등 지역경제와 지역의 인지도 및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d how the endangered fox restoration project affects the community, and how much this effect contributes to improving of biodiversity and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ecological axis, which is the final goal of the restoration proj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rerequisites such as education and promotion for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 directly affect the restoration project goal. In addition, as an indirect route, the prerequisites for the restoration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ocal economy, an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community development contributed to achieving the goal of the restoration proj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by improving the local economy and local awareness and social valu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ourist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산반도국립공원 꽝꽝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형 및 퇴적환경
- 분비나무군락의 토양환경 특성
- 암컷 여우의 외음부 변화상 분석을 통한 발정기 예측
- 국립공원연구지 제13권 제1호 목차
-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지역사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 지구에 도래하는 아비과(Gaviidae) 조류 도래현황 및 해양환경인자 상관성 분석
- 국립공원 아고산대 독립훼손지 복원식생 분포특성 및 관리방안
- Genetic diversity of Insect farm population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1886) (Coleoptera, Scarabaeidae) in South Korea inferred from COI gene sequences
-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연구
- 계통적 다양성 분석을 통한 금강산-설악산 조류의 생태적 유사성 연구
- 통영 산양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Clithon retropictum)의 개체군 가입 및 서식환경
- (단보)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 관리 기반 및 정책에 관한 고찰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 태형동물 분포상
- 오대산국립공원 어류군집의 복원 모니터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