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형 및 퇴적환경
이용수 79
- 영문명
- Geomorpholog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Intertidal zone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이병관 장성건 황다혜 김진현 김소연 이종현 이병준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3권 제1호, 39~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진도 남동리 조간대 지형변화와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상라이다(Lidar) 및 무인 드론을 이용하여 지형을 관측하고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하였다. 조간대 생태계 교란식물인 갯줄풀(Spartina Alterniflora) 제거 전보다 제거 한 이후 평균고도는 0.1m(2cm/yr) 정도 낮아졌다. 제거 전 갯줄풀이 주로 서식했던 지역인 조간대의 남동쪽은 고도가 낮고 이중 또는 다중모드의 입도분포를 보이고 주로 세립한 니질퇴적상이 우세하였다. 이에 비해서 조간대 북서쪽은 고도가 높고 3Ø 정도 더 조립한 사질퇴적상을 나타냈다. 이는 갯줄 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표층퇴적물이 교란되면서 일부가 유실되고 비교적 세립한 니질퇴적물의 재동 및 재부유작용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o study Geomorphology of intertidal flat around southeastern of Jindo was measurement using terrestrial Lidar and drone and sedimentary environment analysed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Compared to average height of intertidal flat was decreased more than 0.1m(2cm/yr) after removed Spartina Alterniflora of invasive salt marsh vegetation species. In southeastern site of intertidal flat before invasive salt marsh vegetation removal was lower height and distributed bimodal/ multimodal of finer mud facies. On the other hand, in northwestern site of intertidal flat after removed that was higher height and distributed of 3Ø more coarser sand facies. This results showed reworking and disturbance from resuspension of loosely finer sedimentary environment during removed then.
목차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산반도국립공원 꽝꽝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지형 및 퇴적환경
- 분비나무군락의 토양환경 특성
- 암컷 여우의 외음부 변화상 분석을 통한 발정기 예측
- 국립공원연구지 제13권 제1호 목차
-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은 지역사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 지구에 도래하는 아비과(Gaviidae) 조류 도래현황 및 해양환경인자 상관성 분석
- 국립공원 아고산대 독립훼손지 복원식생 분포특성 및 관리방안
- Genetic diversity of Insect farm population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1886) (Coleoptera, Scarabaeidae) in South Korea inferred from COI gene sequences
-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연구
- 계통적 다양성 분석을 통한 금강산-설악산 조류의 생태적 유사성 연구
- 통영 산양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Clithon retropictum)의 개체군 가입 및 서식환경
- (단보)국립공원공단의 전사적 데이터 관리 기반 및 정책에 관한 고찰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 태형동물 분포상
- 오대산국립공원 어류군집의 복원 모니터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