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재생과 연계한 옥상녹화에 따른 생태효율성 평가
이용수 86
- 영문명
- Evaluation of Eco-efficiency according to Green Roof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공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생태공학회지』한국생태공학회지 제8권 제1호, 7~1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s that are the main source caused of GreenHouse Gas(GHG) which makes climate change and choosed green roof as a method to reduce energy use. Because green roof is classified as an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due to the effects of air purification, mental stability of plants and removal of fine dust. However, it requires the injection of many materials, which make problem about potential environmental pollution. Besides, it has disadvantage that cannot be revitalized well despite high investment costs. Cool roof which is low material and relatively inexpensive can be effective, but that is also made of artificial materials and need to be repainted with a short life cycle, which is a potential environmental concern too. This study research to find out what more sustainable construction methods through environmental, economic and eco-efficiency assessments of green roof and cool roof are, and what pros and cons are. This research period was set 40 years, while extensive cool roof and water-based cool roof were adopted and conducted.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