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mpa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ravel Agencies on Work Engagement: A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이용수 111
- 영문명
 - 여행사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직무참여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이진희 김남조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7권 제4호, 67~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VID-19는 여행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였다. 급변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인하여 이에 대응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인력과 전략을 보유한 조직은 이러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이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을 나타내지만, 이에 따른 논의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여행사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직무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3월 3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251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요소 중 권한 부여, 고용안정, 성과평가는 직무참여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훈련은 직무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상황에서 여행사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직원의 직무참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대유행으로 인한 인력감축으로 업무참여가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기존과 달리 빠르게 디지털화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입체적인 인적자원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조직과 관리자는 직원에게 적절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직무참여를 유도하고 고용안정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성과평가를 지향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겪고 있는 여행업에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Digital Transformation (DT) is accelerating as the travel industry is affected by COVID-19. This process has caused a problem of a lack of adequate response personnel. However, organizations with the right people and strategies for the digital environment can survive in this environment. This suggests a need for more effectiv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RM), but the current discuss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ravel agencies' SHRM on work engagement from the viewpoint of DT strateg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3 to 30, 2022, and 251 valid samples were obtained. The analysis found that among the elements of SHRM, empowerment, employment security, and performance appraisal positively affected work engagement. However, training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SHRM provided by travel agencies to employees in DT. It suggests that three-dimens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considering the rapidly digitizing situation since work engagement is a problem due to the lack of adequate response personnel from the DT in a pandemic. Organizations and managers should increase their work engagement by giving appropriat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o employees. In addition, awareness of employment security should be instilled, and extra efforts should be made for fair performanc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travel industry undergoing D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Findings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빅데이터를 이용한 코로나19로 인한 캠핑트랜드의 변화 분석
 -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류 콘텐츠가 방한 외래관광객 수요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미용성형 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ravel Agencies on Work Engagement: A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 MZ세대의 브랜드경험이 고객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전공 대학생의 그릿, 임파워먼트, 현장실습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승마활동의 진지한 여가가 진정성 경험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과제 중심의 협동적 글쓰기를 통한 상호담화와 언어적 활동 (languaging)의 역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7호 목차
 - 주민 주도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CBT) 형성 및 성공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정선군 고한읍 마을호텔 18번가를 중심으로
 - 관광목적지에서 원주민과 이주민의 관계적 폭력성 연구: host-guest 프레임워크의 폐기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