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관계론과 보편적 인권

이용수  90

영문명
Cultural Relationism and Universal Human Rights: Beyond Universalism and Relativism
발행기관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저자명
정지현(Ji Hyeon Chung) 이용욱(Yong Wook Lee)
간행물 정보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제1권 제1호, 3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권 개념은 1948년 세계인권선언을 시작점으로 하여 국제적으로 보편화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세계화와 함께 찾아온 문화의 다양성과 확장은 보편적 인권 개념에 대해 많은 논쟁들을 야기했다. 7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왜 문화와 인권 개념 사이의 갈등은 지속되는가? 기존 연구들은 문화의 보편론과 상대론, 보편적 인권의 존재에 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본 논고는 ‘관계성’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정치적 접근법’이라는 개념 분석 방법과 접목시켜 논쟁을 문화의 관계성과 인권 개념의 역동성을 통해 재조명해본다. 이를 위해 분석적 층위와 실행적 층위라는 두 가지 층위로 문화와 인권개념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보편적 인권 개념에 대한 타당성 충돌이 문화권 내외부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인권 개념과 문화 모두 유동적인 개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문화를 이루는 주체들은 상호 관계성에 따라 정치적 결정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념에 대한 해석(interpretation)을 통해 지속되는 논쟁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universal expansion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s considered to have begun with the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UDHR). The expansion of diverse culture that came with globalization has caused much debate about the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More than 70 years after the UDHR, and the controversy between culture and human rights continues. Existing studies mainly take an either stance between universalism versus relativism in the conept of human rights. This paper combines a new perspective of relationism with a conceptual analysis method called political/critical approach to argue that the lasting controversy can be re-examined on the dynamics of cultural relationism and human rights concepts. To this end, we analyze the concept of culture and human rights in two scopes, the scope of analysis and the scope of practice, to see how the conflict of feasibility on the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appear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ultural sphere. In particular, it is noted that both human rights concepts and cultures are fluid concepts. The cultural actors go through a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that reflects their interrelationship.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s that arise in this process provide an alternative way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ongoing debate.

목차

Ⅰ. 서론
Ⅱ. 개념의 정치적 접근법과 인권 개념
Ⅲ. 분석적 층위
Ⅳ. 실행적 층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현(Ji Hyeon Chung),이용욱(Yong Wook Lee). (2021).문화관계론과 보편적 인권.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1 (1), 31-53

MLA

정지현(Ji Hyeon Chung),이용욱(Yong Wook Lee). "문화관계론과 보편적 인권."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1.1(2021): 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