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지안 접근법을 이용한 주택가격 변동요인 분석
이용수 175
- 영문명
- Analysis of Housing Price Fluctuations Using Bayesian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함종영(Ham, Jong Young) 손재영(Son, Jae Young)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20권 제1호 (통권 제55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이지안 접근법을 이용하여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다양한 형태의 사전분포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여 주택가격 예측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자기 자신의 충격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자율 상승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하락시킨 반면, 물가와 생산의 상승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력을 비교한 결과, 일부 구간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Sims-Zha 베이지안 VAR의 예측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주택매매가격과 서울아파트전세가격은 모든 예측구간에서 사전제약을 강하게 부과할수록 실측치와 예측치간 오차가 작아졌으나, 서울아파트매매가격은 6개월 구간에서, 전국주택전세가격은 각각 3개월과 6개월 구간에서만 사전제약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전국주택매매가격과 서울아파트매매가격은 모든 예측구간에서 장기균형관계를 고려한 가중치가 작을수록 예측의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전국주택전세가격은 1개월 구간에서, 서울아파트전세가격은 각각 1개월과 3월과 구간에서만 장기균형관계의 가중치가 작은 모형이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거시경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사전분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주택가격 예측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forecasting the housing market. This research follows the empirical analyses of various extant studies and analyzes the dispersion effect’s influence on housing prices using a Bayesian approach.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sales price and jeonse price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and rising interest rates lower the sales and jeonse prices; conversely, rising prices and production increase the sales and jeonse prices. Comparing the forecasting indicates a certain difference in specific areas, generally the normal-Wishart prior of Sims-Zha. In particular, national housing sales prices and Seoul apartment jeonse price have a smaller error in actually measured value and forecasted value as a prior restriction is strenuously imposed. However, the Seoul apartment jeonse price has the effect of a prior six-month restriction, while the national housing sales price has three-month and six-month restrictions. This study’s implication is to discover the appropriate forecasting model for the housing market using various models widely used in previous macroeconomic literatur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모형 및 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가 주택 및 건설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권 활성화 성공 요인 분석 및 정책 방향
- 도시 교외형 커피전문점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SWOT 분석 연구
- 추진 방식에 따른 공동체주택 계획 과정 비교 연구
- 진주시 강남지구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추진 타당성 검토
- Q방법론을 활용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대한 도시재생참여자의 인식유형 분석
- 베이지안 접근법을 이용한 주택가격 변동요인 분석
- 자가세대의 특성과 주택수요와의 관계분석
- 복합상업시설 이용자의 점포선택 행태분석
- 일본 근대건축유산의 보전형태에 따른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 택지개발지구 개발이익 배분실태 분석
- 수도권 가구원수별 주택수요탄력성에 대한 실증연구
- AHP 분석을 통한 빈집 대책 우선순위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1호 목차
- 미국 통화정책 변화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 지역특성 기반 민관협력적 다층적 접근을 통한 소상공인 지원 정책 특성 연구 - FGI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