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판 코펜하겐소진척도(K-CBI) 타당화 연구
이용수 713
-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K-CBI)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강종수(Kang, Jong-Soo)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사회복지정책과 실천 8권 1호, 211~2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진 측정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는 MBI척도이지만, 이 척도는 구성개념 내지 차원성에 관해 매우 논쟁적인 도구이다. 본 연구는 Kristensen, Borritz, Villadsen & Christensen(2005)이 개발한 코펜하겐소진척도 (Copenhagen Burnout Inventory)의 한국어판(K-CBI) 타당화를 위해 수행되었 다. 강원지역 사회복지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 과 K-CBI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Cronbach’s α=.95), 확 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인적 소진, 업무관련 소진, 클라이언트관련 소진의 세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K-CBI, MBI 그리고 조직몰입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하여 준거타당도 역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ost commonly used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burnout is the MBI. But it’s a argumentative tools on construct and dimensi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by Kristensen, Borritz, Villadsen & Christensen (2005).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social workers in Gangwon-Do.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nter-item reliability was high (Cronbach’s =.95). In addition, Three factors (personal, job-related, client-related) were ident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rrelation among K-CBI, MBI,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to be appropriate, which suppor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identified by multi-regression on the effects to turnover intention. Thu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CBI to measure burnout is validated. Additio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