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 of Hospitality and the Role of Tea Culture: Focusing on Kant and Derrida theory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정혜리(Jeong, Hye-ri)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55집, 97~12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환대 개념을 통해 차문화의 정서적 기능을 이론적으로 성찰해 보고, 이에 빗대어 각 나라의 차문화가 가지는 환대의 특성과 차이를 고찰하는 것이다. 차문화의 역할과 기능으로서의 환대는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특성 중에 하나이지만, 이론적인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칸트의 조건적 환대와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의 개념을 통해 차문화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작업으로 모호하게 통용되던 차문화의 정서적 기능으로서의 환대를 고찰해 봄으로서 차문화의 방향성을 명료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칸트의 조건적 환대에는 영국의 차문화와 일본의 차문화는 조건과 목적에 기반한 환대로 정의하였다. 또한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의 특징을 가진 차문화로는 생활문화로 깊이 자리잡은 중앙아시아의 차문화를 들었다. 이 지역의 특수한 환경은 절대적인 환대의 배경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heoretically reflects on the emotional function of tea culture through the concept of hospitality, and compares it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hospitality in each country s tea culture. Hospitality as a role and function of tea culture is one of the commonly recognized characteristics, but a theoretical approach has not been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rection of tea culture by examining hospitality as an emotional function of tea culture, which was vaguely used as a work to seek the identity of tea culture through Kant s conditional hospitality and Derrida s unconditional hospitality. Kant s conditional hospitality defined British tea culture and Japanese tea culture as hospitality based on conditions and purposes. In addition, as a tea cultu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of Derrida, he cited the tea culture of Central Asia, which has deeply established itself as a living culture. The special environment in this area served as the background of absolute hospitality.
목차
Ⅰ. 서론
Ⅱ. 환대의 개념과 환대이론
Ⅲ. 환대의 매개로서의 차문화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차석의 구성요소 고찰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변화와 온라인 차(茶)교육 방향 연구
- 정약용과 김정희의 차문화에 나타난 다호(茶號) 연구
- 한국 현대 차 문화 운동의 전개와 의의
- 환대의 개념과 차문화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근대 일본의 반차 상품화의 변천 과정에 대한 고찰
- 여성의 떡에 대한 가치인식, 문화계승태도 및 구전행동의도 연구
- A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 ging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Functional Tea using P leurotus eryngii Mycelium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Introduction: Venturing into Planetary Infrastructural Thin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Vol.15 No.2 Contents
-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