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육에서의 교육적 커리큘럼으로써 광야학습경험의 효과 연구
이용수 54
- 영문명
- Research on the impacts of wilderness learning experiences as an educational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민(Jongmin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69집, 105~1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야외광야교육의 특징과 대학교육에서 활용되는 야외광야경험들의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논문의 첫번째 파트는 야외광야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특징--불평형 상태에서의 모험과 자기발견, 임시적 공동체 안에서의 소그룹 역동성, 실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 혼자만의 시간 중에 자기 통합을 위한 솔로 타임, 그리고 트립 리더의 리더십 스타일과 역할--을 제시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참가자로 하여금 여행의 사명에 따라 각자의 목적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준다. 논문의 두번째 파트는 야외광야프로그램에의 목표와 결과에 따라 세개의 분야로 구분한다: 신입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개인적 리더십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전문적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 대학교육에서 각각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참석자들이 경험한 야외광야경험의 효과에 대해 고찰한다. 그 후에 대학교육에서 광야프로그램에 관여하는 기독교교육자에게 전인적인 계발프로그램을 구상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wilderness education and the impacts of outdoor wilderness experience on the participants in higher educatio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the common components of outdoor wilderness programs: adventure or self-discovery in disequilibrium, small groups for accountability in a temporary community, problem solving processes for decision making in real situations, solo time for integration in solitude, and leadership styles and role of the trip leaders. These elements of outdoor wilderness programs help the participants to achieve their goals according to its missio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divides outdoor wilderness program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outcomes of outdoor wilderness education: orientation programs for incoming students, personal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The impacts of outdoor wilderness experiences on the participants of different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were reviewed. Then guidelines for spiritual formation prorgams were proposed for Christian educators who are involved in wilderness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to develop their practical wilderness experiences into holistic development programs according to its mission and goal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Educational Mechanisms of a Wilderness Program
Ⅲ. The Impacts of Wilderness Programs
Ⅳ. Conclusion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Bible Didactical Approach to Bibliodrama on the Metaverse Platforms
- 교회 평생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교육에서의 교육적 커리큘럼으로써 광야학습경험의 효과 연구
- Transition from church school-centered education to family-centered Christian faith education
- 숲놀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기독교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전공수업에서 비대면수업 방식에 따라 학습동기 유형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 한국적 상황에서 관상기도 이해
- A Study for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Extracurriculum: Focused on the Case of K universit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