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teraction Effect of Country Image and CSR of MNCs in the Host Country on Apply Intention for Local Job Seeker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홍가혜(Hong, Gahye) 김은미(Kim, Eunmi)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37卷 第1號, 147~1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호이론과 사회정체성이론을 기반으로 외국계 기업의 국가이미지가 현지 자회사에 대한 현지구직자의 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현지 CSR 활동의 조절효과를 제시하고, 나아가 잠재적구직자의 CSR 교육 경험이 국가이미지와 구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CSR 활동의 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6명의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상의 중국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시나리오 실험 설계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호의적일수록 중국기업에 대한구직의도가 증가하며, 중국기업의 국내 CSR 활동은 이러한 국가이미지와 구직의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국내 구직자가 CSR 관련 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중국기업의 국내 CSR 활동이국가이미지와 구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계 기업이현지 구직자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국가이미지와 현지 CSR 활동의 역할을 제안하고, 잠재적 구직자의 CSR 교육 경험이 이들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강화함을 확인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Drawing on signaling and social identity theories,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country image, CSR practices and CSR education on applicants intention to apply. 136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olic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scenarios depicting different levels of a given Chinese firm s CSR practices. The results reveal that Korean applicants who have more favorable country image of China are more likely to apply to the Chinese firm and CSR practices positively moderate the effect of country image on the intention to apply. Furthermore, for potential job seekers who had CSR edu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practi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 image and apply intention is strengthened. The result indicates that foreign firms could attract local talent effectively, by a favorable country image and CSR practices and this study suggests the role of CSR education in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팀의 스케줄, 시간엄수 관리 특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 다국적 기업의 국가이미지와 현지 CSR 활동의 상호작용이 현지 구직자에게 미치는 영향
- 지역 신성장산업의 경쟁력 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자원재탐색과 혁신성과
- COVID-19가 보수주의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
- Personal, Relational and Job Resources’ Effect on In-Role Job Performance through Thriving at Wor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load
- 국내 제조업 내 산업용 로봇의 사용이 성별 고용에 미친 영향
- 영업권 손상인식의 재량적 회피가 영업권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주차수급실태분석
- ESG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30 No.9 Contents
- Doe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ffset the Function of Institutionalized Socialization Tac tics on the Intention to Quit?: Investigation of Time-lag Influences
- Driving Startup Performance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The Mediating Effects of Efficiency and Brand Positio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