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전후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학력격차 연구
이용수 1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hievement gap of college English learners before and after COVID-19: Focusing on the English achievement of students in TOEIC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명애(Ha, Myeong-A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21권 1호, 187~2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achievement gap among college English learners before and after COVID-19. For the study, the TOEIC scores were analyzed of 615 students, beginning and advanced levels, who participated in special TOEIC classes from 2018 to 2021 at a 4-year private university. ANOVA, ANCOVA, and a t-test were us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TOEIC scores of students in face-to-face classes (2018, 2019) and in non-face-to-face classes (2020, 2021), representing time frames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n scores of the students in the non-face-to-face classes were lower overall, compared to those in the face-to-face classes. In the beginning level class, the mean scores were lower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COVID-19, while in the advanced cla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fore and after COVID-19, confirming the English achievement gap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to bridge the English achievement gap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the post-COVID-19 era.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영어 임용시험 준비생을 위한 통사론 어휘다발 선정 및 텍스트 마이닝 분석
- 기계번역의 오류 양상과 사후수정(post-editing)이 L2 쓰기 적절성에 미치는 영향
- 전치사 의미 교육을 위한 연어정보 제시에 대한 소고
- 코로나19 전후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학력격차 연구
- 중등 예비 영어 교사가 개발한 교재평가표 분석
- 교원임용시험 대비 영어 수업 실연 연습의 효과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 장르적 관점에서의 초등영어 읽기 텍스트 적절성 분석
- 한국인 영어 부진 중학생의 듣기와 읽기 발달 사례 연구
-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