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성마비 성인과 일반 성인의 음악적 발화과제 시 음성 특성 비교
이용수 33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on Musical Speech Task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박한나(Park, Han Na)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12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성인과 일반 성인에게 각각 동일한 발화과제(일반, 리듬, 선율 발화)를 제공한 뒤 집단(일반 및 뇌성마비 성인)과 발화과제에 따라 어떠한 음성 특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 성인 20명과 일반 성인 20명이며 프라트(Praa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발화과제에 따른 기본주파수, 음성강도, 주파수 변동률, 진폭 변동률수치를 구하였다. 각 집단의 발화 과제에 따른 음성 특성 분석 결과, 기본주파수와 음성강도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파수 변동률 및 진폭 변동률의 경우 일반성인집단과 뇌성마비성인집단 모두 선율 발화 시 유의하게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집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뇌성마비성인집단의 주파수 변동률 및 진폭 변동률이 일반성인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일반성인집단과는 달리 뇌성마비성인집단의 경우 리듬 발화 시 주파수 변동률 및 진폭 변동률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파수변동률의 경우 집단과 발화과제 종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해 두 집단 사이에 상이한 양상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발화 시 적용된 음악요소에 따라 나타나는 즉각적 음성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40 adults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CP), upon presentation of three speech tasks (i.e., reading, chanting, and singing). The Praat program was utilized to generate data on fundamental frequency, voice intensity, jitter, and shimm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fundamental frequency and intensity. However,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jitter and shimmer when engaged in singing tasks. Th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indicated that adults with C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riation scores on jitter and shimmer than the group without CP, and the difference on jitter and shimmer became greater during rhythmic chanting. In terms of jitter variation, the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types of speech tasks were greater, demonstr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research, regarding changes in vo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CP according to different musical speech tas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