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 음악 만들기 활동
이용수 115
- 영문명
-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지경미(Ji, Kyeongmi)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12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청소년 남학생 4명으로 세션은 주 2회씩 회기별 45분으로 진행하여 총 16회기 동안 개별 중재하였다.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은 노래 구상 및 태블릿 PC 조작법 습득, 음악 요소 탐색, 리듬·멜로디·가사·반주 리듬 만들기, 루프 구간 설정 및 생성, 발표하기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창작 과정은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반복 진행되었다. 집행 기능 측정을 위해서 스트룹(Stroop)검사, 아동 색 선로 검사(CCTT), 작업기억지표의 하위검사인 숫자따라 외우기(DST)와 순차연결하기(LN) 검사를 사전·중간·사후에 실시한 결과 연구 결과 참여자들 모두 세 가지 검사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비디오 촬영을 통한 행동 분석 결과, 주의 지속 시간이 증가하고 리듬과 멜로디 수행 시 나타나는 오류를 자발적으로 개선해 나갔으며 정보 범주화를 통해 정보의 활용과 응용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 기능을 향상 시키는 중재도구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에 지적장애 아동기에 집중되어있던 연구를 청소년기로 확장시켜, 인지기능 저하 및 인지적 과제 참여에 대한 동기가 낮은 다른 대상군에게도 확장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Each participant received 45-minute individual session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music-making program was designed in the sequence of planning; learning table PC operations; exploring musical elements; making rhythm, melody, and lyrics; composing loop sections; and presentation of the completed music. The Stroop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and Digit Span and Letter-Number sequencing tests were measured at pretest, midtest, and posttest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executive function. The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scores on all three tests. The participants’attention span also increased and their attempts to correct errors during tasks occurred more frequently at posttest. This study supports the effects of the technology-based program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esents its expanded applicability for adolescents who show low cognitive function and limited motivation for cognitive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