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Study on Career Decision Process of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ithout Music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영(Park, Hye Young)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10권 제1호,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음악 전공자들의 음악치료 진로선택과정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 중 학부에서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하여 근거이론 도출을 위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음악 전공자들의 음악치료 진로선택과정은 삶의 구체적 목표 설정에 대한 지속적인 동기와 취업이나 진학과 같은 현실적인 자극을 받아 사회인으로서의 역할 결정에 대한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유발되었다. 이는 자신을 둘러싼 현실적인 상황과 음악치료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을 야기하였고, 개인적 특성과 외부적 요인 그리고 음악적 배경이 상호작용 하였다. 그 경험은 자신의 본능과 잠재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음악아(Music Child)’와의 관계 재설정을 통한 ‘자기(self)’ 통합과 성장의 추구로 이어졌다. 또한 관계 속에서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자 하는 욕구가 진로선택 과정에서 자신의 포부를 구체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비음악 전공자들이 음악치료학으로 진로를 선택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치료에 입문한 비음악 전공자들에 대한 실제적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experiences of non-music majors to changing their majors into music therapy and to provide the preliminary study for deriving a grounded theory. For that,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argeting 5 students who did not major in music in their undergraduate courses selected from the graduat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music therapy at the colleges located in Seoul. Data was analyzed for the study by apply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y selected the course of music therapy career as they were motivated by the realistic demand for future employment, career potentials and other realistic causes. These factors caused them to study the surrounding situations and conduct the detailed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These factors were also dependent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ternal elements and music background. These experiences were connected to the self-integration and pursuit of growth by newly setting their relation to the ‘Music Child’. In addition, the demand of being the meaningful existence in relationship also affected them to more specify their aspirations in the progress of career selection on a continual basi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the actual information on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Protocol for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ognitive and Emotional-Behavioral Domain using Rhythm (MACED-Rhythm)
- 음악치료 접근을 통한 특수학교 음악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비음악 전공자들의 음악치료 진로선택과정에 대한 연구
- A Rationale for Instrumental Music Playing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in Subacute Stroke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