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usical preference of autistisic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선(Kang Kyoung Sun)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4권 제1호,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아동들의 음악적 선호도 그리고 주 행동 성향과 음악적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60명의 자폐아동들의 어머니, 치료사,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아동들의 선호 음악 활동은 음악 듣기이며 선호 악기는 건반악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장르별 선호도 조사에서 모든 아동이 언어장애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 중심의 음악인 동요와 광고음악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행동 성향에 따른 음악 선호도 조사에서 과잉행동, 반항적 자폐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그룹의 아동들과 비교할 때 자극적인 음악에 강한 선호도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al preference of autistic children. Based on the written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 from mothers, therapists and teachers of 60 autistic children the music preference of the autistic childre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istic children prefer music listening rather than playing or singing. The keyboard and piano are the most preferred instruments by these children. In music genre they prefer children s song and commercial music. Though they all have language disorder, they have a strong tendency toward music with text.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music preference and behavior. The hyperactive and oppositional children have a tendency to enjoy more stimulative music compared to other autistic children.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