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tical elements in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Programs: From Psychoanalytical and Existential Aspects
이용수 50
- 영문명
- 정신분석적 및 존재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GIM 음악분석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주(Chong Hyun Ju)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3권 제2호, 59~6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에 대한 분석적 지식은 모든 음악치료 전문성의 기본이다. 특히 음악을 주 치료도구로(music as therapy) 사용하는 음악과 심상기법(GIM)에서는 각 요소들이 갖고 있는 심리적 혹은 정신분석적 의미와 심상 경험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분석에 대한 심리치료적 이해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GIM 훈련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악분석 자료가 많이 미흡하다는 점과 기존의 분석이론의 적절성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는 물론 GIM 훈련자들을 위해 제안된 음악의 현상학적 분석, 통찰적 분석 등 다양한 음악분석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장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는 음악 요소들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개발하기 위해 Bruscia의 즉흥기법사정프로파일에서 제안된 음악요소의 정신분석적 및 존재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심상 경험에 대한 분석자의 주간적인 이해 전에 음악 자체가 가지고 있는 요소적 특성을 규명하는 능력과 각 요소들의 정신분석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에 대한 이해는 GIM에서 심층적 경험을 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임상적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listening and analyzing GIM music literature. Many GIM practitioners have developed listening guidelinles for GlM music literature, however, there needs to be a more structured guidelinles and criteria for beginning GIM trainees. This paper has utilized the psychoanalytic and existential analysis of musical elements suggested by Bruscia, which focuses on the rhythmic and tonal components of musical elements. These components deal with the energy level and emotional depth embedded in the music, which are important essences in imagery experiences. The paper further reviewed various approaches of analyzing music which are musical, phenomenological, and heuriistic. These approaches include both musical arlalysis and analyzer s subjective experiences of music. However, it is more essential fastly to understand the basic musical criteria in relation to psychoanalytic and existential aspects before going into subjective experiences of music listening for the beginning GlM trainees.
목차
Psychoanalytic and Existential Aspects of Music Elements
Music Analysis and Psychoanalytic Aspect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