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명차퍼를 이용한 백내장수술에서 최소-에너지 수정체유화술
이용수 23
- 영문명
- Illuminated Chop Using an Illuminated Chopper in Cataract Surgery: on the Way to Minimal-energy Phacoemulsific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진수(Jinsoo Kim) 이기웅(Ki Woong Lee) 이대영(Dae Young Lee) 엄영섭(Young Sub Eom) 남동흔(Dong Heun Na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2, 160~16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백내장수술에서 조명차퍼를 이용한 변형된 수정체 핵 쪼개기로 수술 중 발생하는 초음파 에너지와 수술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일 술자에 의해 전방내 조명기를 사용한 Stop & Chop 방식으로 노인성 백내장수술 받은 34명 45안과 조명차퍼를 사용한 Illuminated chop (I-Chop) 방식으로 수술 받은 49명 71안에서 수술 중 사용된 유효 초음파 에너지양을 나타내는 수술 기구의 고유 상수(EFX), 수정체유화술 시간, 각막내피세포수 변화 등을 비교하고, I-Chop군에서 제로-에너지 수정체유화술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두 그룹에서 수술 중 사용된 유효 초음파 에너지양은 각각 0.82 ± 3.53, 18.08 ± 16.15 (p=0.001), 수정체유화술 시간은 162.04 ± 49.65초, 185.08 ± 41.42초(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각막내피세포 감소량은 7.13 ± 9.47%, 7.03 ± 7.89%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6). I-Chop군에서 제로-에너지 수정체유화술 환자는 56안(86%)이었으며, EFX>1인 환자들에서 핵경화 정도는 더 심한 경향을 보였다(2.90 ± 0.71 vs. 4.5 ± 1.0; p=0.001).
결론: 조명차퍼를 이용한 I-Chop 수정체 핵 쪼개기를 통해 백내장수술에서 초음파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minimize ultrasound power use and surgical phaco time in illuminated chop cataract surgery.
Methods: The charts of patients who underwent senile cataract surgery by a single surgeo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 conventional intracameral endoilluminator was used in a Stop & Chop group (n = 45), while an illuminated chopper was used in an illuminated chop (I-Chop) group (n = 71). EFX, a unitless value that roughly correlates with ultrasound energy during phacoemulsification, surgical phaco time, and changes in endothelial cell count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ratio of zero phacoemulsification in the I-Chop group was evaluated.
Results: EFX of the Stop & Chop and I-Chop groups was 18.08 ± 16.15 and 0.82 ± 3.53, respectively (p = 0.001), while the surgical phaco time was 185.08 ± 41.42 and 162.04 ± 49.65 seconds (p = 0.01). However, the endothelial loss did not differ in the two groups (7.03 ± 7.89 vs. 7.13 ± 9.47%, p = 0.76). In the I-Chop group, 56 (86%) eyes had zero phaco energy and patients with EFX >1 (n = 6) had more severe nuclear sclerosis grading (2.90 ± 0.71 vs. 4.5 ± 1.0; p = 0.001).
Conclusions: The I-Chop group had lower EFX and shorter surgical phaco time than the Stop & Chop group. Illuminated chop using an illuminated chopper is one way to attain minimal phacoemulsifica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형된 하라다-이토수술 및 Mendez 링 술 중 조정술을 통한 양안 상사근마비 교정 1예
- 백내장수술 중 전방 내 에피네프린과 인도시아닌그린 주입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경공막 섬모체광응고술 후 아메드밸브삽입술의 수술 결과
- COVID-19 유행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 위생이 유행성 각결막염 발병에 미친 영향
- 조명차퍼를 이용한 백내장수술에서 최소-에너지 수정체유화술
- 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의 진단에서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의 유용성
- ARTIS?? PL E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수술의 임상적 결과
- 라니비주맙으로 치료한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에서 안구 내 사이토카인 변화
- 눈꺼풀의 호산과립세포종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Exophiala xenobiotica 진균안내염
- 위소뇌동맥류에 의한 도르래신경마비 환자
- 아래눈꺼풀 미용성형술 후 발생한 눈꺼풀속말림에 대한 연구
- 시각장애 발생 전후 의료 이용 및 비용 변화
- 코눈물관막힘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 후 막힘 정도에 따른 장기 결과 및 예후 인자 분석
- 안축장이 긴 눈의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의 안정성 관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