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의 진단에서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의 유용성
이용수 5
- 영문명
- Retinal Nerve Fiber Layer-to-Disc Ratio Distinguishing Glaucoma from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동희(Donghee Park) 최연주(Youn Joo Choi) 박성표(Sung Pyo Park) 나경익(Kyeong Ik Na)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2, 191~20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개방각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의 감별진단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넓이,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의 진단력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신경유두 크기와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일치시킨 개방각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 각 23안과 시신경유두 크기를 일치시킨 정상안 23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넓이,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를 분석하였으며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로 진단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과 총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넓이는 개방각녹내장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모두 p<0.001).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는 개방각녹내장군, 정상안군,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군 순으로 큰 값을 가졌다(p<0.001). 개방각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을 감별하기 위한 AUC는 하이측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이 0.987, 총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넓이가 0.996, 망막신경섬유층 유두비가 1.000으로 하이측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0.811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각 p=0.005, p=0.006, p=0.006).
결론: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는 개방각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의 진단에서 기존 지표들과 함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retinal nerve fiber layer-to-disc ratio (RDR) compared to established parameters including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RNFLT), Bruch membrane opening-minimum rim width (BMO-MRW), and Bruch membrane opening-minimum rim area (BMO-MRA) for differentiating between open angle glaucoma (OAG) and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3 optic disc size-matched normal control eyes and 23 OAG and NAION eyes matched according to global RNFLT. The RDR, RNFLT, BMO-MRW, and BMO-MRA were analyzed; the diagnostic capabilities of these parameters were compared us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Results: The global BMO-MRW and total BMO-MRA were lower in the OAG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all p < 0.001). RDR was greatest in the OAG group, followed by the healthy and NAION groups (p < 0.001). Between the OAG and NAION groups, the AUCs for temporal inferior BMO-MRW, total BMO-MRA, and RDR were 0.987, 0.996, and 1.000, respectively; these were greater than the temporal inferior RNFLT (0.811; p = 0.005, p = 0.006, and p = 0.006, respectively).
Conclusions: RDR could be one of the useful paramete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in OAG and NA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형된 하라다-이토수술 및 Mendez 링 술 중 조정술을 통한 양안 상사근마비 교정 1예
- 백내장수술 중 전방 내 에피네프린과 인도시아닌그린 주입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경공막 섬모체광응고술 후 아메드밸브삽입술의 수술 결과
- COVID-19 유행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 위생이 유행성 각결막염 발병에 미친 영향
- 조명차퍼를 이용한 백내장수술에서 최소-에너지 수정체유화술
- 녹내장과 비동맥염 앞허혈시신경병증의 진단에서 망막신경섬유층유두비의 유용성
- ARTIS?? PL E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수술의 임상적 결과
- 라니비주맙으로 치료한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에서 안구 내 사이토카인 변화
- 눈꺼풀의 호산과립세포종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Exophiala xenobiotica 진균안내염
- 위소뇌동맥류에 의한 도르래신경마비 환자
- 아래눈꺼풀 미용성형술 후 발생한 눈꺼풀속말림에 대한 연구
- 시각장애 발생 전후 의료 이용 및 비용 변화
- 코눈물관막힘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 후 막힘 정도에 따른 장기 결과 및 예후 인자 분석
- 안축장이 긴 눈의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의 안정성 관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